초록 열기/닫기 버튼

상을 분석할 때 동작류에만 초점을 맞추면 상황 내적 구조에서 동작의 전개 모습을 잘못 볼 수 있다. 이에 본고는 ‘기동상’의 개념을 재정리함으로써 한국어 기동상의 문법적 의미, 기능, 그리고 표지를 의미적으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고는 Klein(1994)에서 주제 시간과 상황 시간의 관계와 문장 구조의 제약을 통해 동작류가 아닌 상황에서 동작의 전개 모습 즉 상(aspect)을 검토한다. ‘-어지다’, ‘-어 가다/오다’ 등 기동상 표지를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논의한 결과로 ‘기동상’은 완결상에 속한다는 것이 아니라 미완료상으로 처리해야 함을 밝힌다. 앞으로 언어유형론에서는 다른 언어와의 대조를 하며 그리고 시제, 서법, 상을 통해 동작의 전개 모습을 전면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When analyzing the aspect, it is wrong to focus only on the part of speech, but not on event. In this regard, this paper aims to sort out the definition of ‘Ingressive aspect’ and investigate the grammatical meaning and representative marks of Korean. Therefore,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time of situation and topic time proposed by Klein (1994), this paper make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Ingressive aspect’ markers in Korean in the internal structure of events. It was specifically analyzed with marks on the Ingressive aspect, such as ‘-어지다’, ‘-어 가다/오다’, We found that ‘Ingressive aspect’ is imperfective instead of perfective. It is necessary to compare with other languages in linguistic typology in the future, and comprehensively analyze the time relationship of actions from the perspectives of tense, aspect and mo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