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여성노인의 미충족 의료 현황과 영향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19년 한국 지역사회 건강 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앤더슨의 의료이용 행동모형을 기반으로 한 이차분석 연구이다. 2019년 지역사회건강조사에 참여한 총 대상자는 22만 9,099명이었고 이 중 만 65세 이상 여성노인 43,564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65세 여성노인 중 6.5%가 미충족 의료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인요인 중 연령이 증가할수록 1.05배(CI=1.04-1.05), 배우자가 없는 경우 1.12배(CI=1.03-1.22), 혼자 사는 경우 1.15배(CI=1.06-1.26)로 미충족 의료를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능요인에서는 농어촌에 사는 경우 1.28배(CI=1.20-1.36), 기초생활수급자인 경우 1.34배(CI=1.19-1.51), 필요요인에서는 스트레스가 높은 경우 2.57배(CI= 2.46-2.68), 주관적 건강상태가 나쁠수록 미충족 의료를 경험할 위험이 1.45배(CI=0.47-0.51)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여성노인에 대한 사회적 관심의 필요성, 이들의 의료접근성 향상을 위한 충분한 지원 및 사회적 지지에 대한 보완 등의 건강관리 지원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unmet healthcare needs and factors affecting older women. For this, data from the 2019 Korean community health survey was used, and it is a secondary analysis study based on Anderson’s behavior model. A total of 229,099 people participated in the 2019 community health survey and among them, 43,564 older women over the age of 65 we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6.5% of 65 years older women experienced unmet healthcare needs. Among the predisposing factors, more experienced unmet healthcare needs; 1.05 times (CI=1.04-1.05) for older women, 1.12 times for no spouse (CI=1.03-1.22), 1.15 times for living alone (CI=1.06-1.26) the enabling factors, 1.28 times (CI=1.20-1.36) for those who live in rural areas, 1.34 times for those who receive primary livelihood (CI=1.19-1.51) and As for the needs factors, it was found that the risk of experiencing unmet healthcare needs was 1.45 times (CI=0.47-0.51) higher when the stress was high, 2.57 times (CI= 2.46-2.68), and the worse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for social interest in older women and the importance of health care support, such as sufficient support to improve their medical access and supplementation for family and social sup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