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긍정심리학과의 유교적 행복·덕윤리와의 대화를 추구한다. 유교의 행복·덕윤리를 중심으로 해서 살펴보되, 동양·한국적 맥락에서 긍정심리학과의 대화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그리고 긍정심리학과 동양·한국의 행복·덕윤리를 소통시키고, 통섭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유교적 행복·덕윤리가 다른 동양윤리적 전통보다 아리스토텔레스적 행복·덕윤리와 통섭될 수 있음을 밝혔다. 그뿐만 아니라 동양·한국의 행복·덕윤리의 패러다임 내에서도 불가공약성의 차원이 있음을 밝히면서 유교적 행복·덕윤리학에 집중하고자 하였다. 이런 논의 끝에 긍정심리학의 성격 강점·페르마의 행복과 유교의 덕·행복 윤리학이 어떻게 소통되고 통섭될 수 있는지를 제시하였다. 긍정심리학이 말하는 성격 강점과 긍정 정서, 몰입, 삶의 의미, 관계, 성취의 행복에 유가적 덕과 행복은 통섭적으로 소통될 수 있음을 밝혔다. 또한 유교는 기존 긍정심리학적 연구의 성과를 활용해서 유가적 행복·덕교육뿐만 아니라 심리적 치료의 영역에서도 더욱 긍정심리학과의 통섭을 지속해야 함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pursues a dialogue with the Confucian happiness and virtue ethics of the Department of Positive Psychology. Focusing on Confucianism's happiness and virtue ethics, I would like to examine how dialogue with the Department of Positive Psychology is possible in Eastern and Korean contexts. In this study, we try to communicate and consilience positive psychology and happiness and virtue ethics in the East and Korea. Through this,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Confucian happiness and virtue ethics have a deeper possibility of consilience with Aristotle's happiness and virtue ethics than other oriental ethical traditions. In addition, I intend to focus on Confucian happiness and virtue ethics by revealing that there is a dimension of incommensurability within the paradigm of happiness and virtue ethics in the East and Korea. After these discussions, I would like to suggest how positive psychology's personality strengths and Fermat's happiness and Confucian virtues and happiness ethics can be communicated and consensual. Confucianism is Confucianism, using the results of existing positive psychology research, is Confucianism, and virtue and happiness can be communicated conscientiously, according to positive psychology. It was suggested that consilience with the Department of Positive Psychology should be continued in depth not only in happiness and virtue education but also in the field of psychological treat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