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급속한 모바일 기술의 발전과 네트워크 속도 향상은 다양한 서비스 형태로 생활의 편의를 제공하고 있으며 모바일 쇼 핑몰에서도 예외는 아니다. 빅데이터를 활용한 맞춤 추천, AI 기반의 특화된 개인화 서비스 등을 활용하여 기업들은 판 매촉진에 큰 노력을 하고 있으나, 대다수의 모바일 쇼핑몰에서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상세페이지의 정보 구성 은 동일한 레이아웃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모바일 상품 상세페이지의 콘텐츠 배열 및 레이 아웃이 소비자 성향에 맞게 제공되어야 한다고 판단하여, Higgins의 조절초점이론(Regulatory Focus Theory)을 바탕으로 소비자의 성향을 분류하여 두 가지 레이아웃 배열의 상품 상세페이지를 구성하여 제시하였다. 콘텐츠 레이아웃 배열이 F-shaped 패턴으로 제시되었을 때 정돈감(Organizedness)으로 정보가 인지되고, Z-shaped 패턴으로 제시되었을 때 생생함 (Vividness)으로 정보가 인지되어 소비자의 성향에 따라 제품 태도와 구매 의도에 영향을 받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예방초점 성향의 소비자들은 콘텐츠 레이아웃 구성이 통일감 있고 정돈감(Organizedness) 있는 형태 의 레이아웃 배열에서, 향상초점 성향의 소비자들은 생생함(Vividness)이 느껴지는 자유로운 레이아웃 배열로 제시되었을 때 제품 태도 및 구매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을 확인하였다.


The rapid development of mobile technology and the improvement of network speed are providing convenience to various services, and mobile shopping malls are no exception. Although efforts are being made to promote sales by combining various technologies such as customized recommendations using big data and specialized personalization service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most mobile shopping malls have the same detailed page information structure including detailed product information. In this context, in this study, it was determined that the content layout of the product detail page and the mobile product detail page layout tailored to the consumer's preference should be presented according to the consumer's preference. Based on Higgins' Regulatory Focus Theory, a study of consumer propensity revealed that the content layout arrangement on a product detail page, when presented in an F-shape, informs the consumer that it is organized. If presented in a Z-shape, vivid information was recognized, and it was examined whether the product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were affected. As a result, when the content layout composition was presented as a layout arrangement in the form of a sense of unity and organization, prevention-focused consumers were positively affected by product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s, and promotion-oriented consumers felt freedom. When presented in an arrangem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duct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were aff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