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native speakers of Japanese express their opinions in discussions between native speakers and learners of Japanese, based on the occurrence tendency of utterance-final segments. The analysis focused on the two functions of elements included in utterance-final segments: the function to soften the utterance (mitigating function) and the function to actively engage the receiver (conative function). Firstly, for the overall characteristics,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utterance-final segments tended to include mitigating functional elements and conative functional elements rather than to be in the form of a simple declarative sentence. Each of these elements often appeared alone in utterance-final segments, while both the mitigating functional elements and the conative functional elements sometimes appeared together in a single utterance-final segment. Secondly,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form of "plain form" + to omou ‘(I)think that’ was used only in a small percentage of cases despite the use of the sentence pattern-to omou ‘(I)think that’ amounting to about one third of all expressions of opinion. In many cases, this sentence pattern tended to be used together with the mitigating function elements, such as -kana to omou and -to omou n desu kedo. In addition through an analysis of situations where these utterance-final segments were used the current study found that these utterance-final segments were used to avoid confrontation with the receiver, to soften and convey opposing opinions, and to confirm sharing of the utterance with the receiver.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native speakers of Japanese choose utterance-final segments of expressing their opinions on the basis of the context in order to maintain a smooth relationship with the receiver.


본 연구에서는 일본어 모어 화자와 일본어 학습자의 접촉장면에서의 의견교환 회화에 있어서 모어 화자 가 어떻게 의견 표명을 하고 있는지, 발화말 구성요소의 출현 경향을 토대로 분석하였다. 분석에 있어서는 발화말의 요소가 가지는 발화를 완화하는 기능(완화 기능)과 듣는 사람에게 적극적으로 작용하는 기능(작 용 기능)에 주목했다. 우선, 발화말의 전체적인 특징으로서, 단언 형식보다는 완화의 기능을 가지는 요소나 작용의 기능을 가지 는 요소가 부가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 요소들은 발화말에 있어 단독으로 나타나는 경우 가 많지만, 완화 기능을 가지는 요소와 작용 기능을 가지는 요소가 한 번의 발화에 복합적으로 나타나기도 했다. 다음으로 의견표명의 기본문형 'と思う'는 전체의 약 3분의 1 비율로 사용되지만 '보통체+と思う(단 언)'의 형태로 사용되는 것은 극히 일부이며, 대부분의 경우 '~かなと思う', '~と思うんですけど'등 주로 완화기능을 갖는 요소와 함께 사용되는 경향이 있는 것을 알게 되었다. 더불어 이러한 발화말의 표현이 어 떠한 상황에서 사용되었는지 회화를 관찰한 결과, 상대방과의 대립을 피하거나 반대 의견을 완화시켜 전하 려고 하고, 발화를 상대방과 공유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려고 하는 등의 모습이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일본어 모어 화자는 상대방과의 원활한 관계 유지를 위해 문맥에 따라 의견표명의 발 화말 표현을 선택하고 있음을 추찰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