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16세기를 살아갔던 오희문이 작성한 『쇄미록』의 기록을 통해 혼인으로 연결되는 친족관계의 실상을 담아보고자 하였다. 특히 오희문이 유년기부터 청장년기, 노년기에 이르기까지 어떠한 친족과 주로 교류하였으며, 그들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지, 물리적․정서적 거리감은 어느 정도 인지를 측정하여 조선시대의 혼맥과 친족관계의 이해를 넓히고자 하였다. 그 결과 오희문의 일기에는 직계친보다는 외가(外家)나 매가(妹家) 등 방계친과의 교류가 더 잦았고, 혼맥(婚脈)으로 파생되는 인척관계인 처가(妻家)와 서가(壻家)와의 관계성이 깊은 모습을 보였다. 이를 통해서 조선초기부터 유교성리학적인 사회로의 강조로서 친족관계 역시 적장자와 직계친을 중시할 것이라는 짐작과는 달리 16세기 사대부의 삶 속에서 외가와 처가, 매가는 상당히 중요한 인맥 중 하나였음을 살필 수 있다. 이는 실행기록을 통한 조선시대 전반에 걸쳐 일어나는 문화 현상으로서 제도적 차이가 실제 생활문화 공동체 속의 차등으로 연결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한 사회의 특정한 문화를 올바로 이해하는데 원리와 실행은 구분되어서 이해할 필요성을 갖는다.


This paper attempted to contain the reality of kinship that leads to marriage through the record of the diary written by Oh Hee-moon, who lived in the 16th century. In particular, Oh Hee-moon mainly interacted with relatives from childhood to youth and old age, and to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the confusion and kinship of the Joseon Dynasty by measuring their perception and physical and emotional distance. As a result, Oh Hee-moon’s diary showed more frequent exchanges with Banggye(傍系) relatives such as maternal relatives and sister’s family than direct relatives, and showed a deep relationship between his wife’s family and son-in-law, which are relatives derived from honmaek(婚脈=relationship of marriage).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maternal family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nnections in the 16th century in the life of a nobleman, contrary to the assumption that relatives would also value the enemy and direct relatives as an emphasis on Confucian Neo-Confucian society from the early Joseon Dynas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