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Recently, designing and implementing the education based on learning outcomes has come to be essential for university educations. The reason why is that universities must elaborate explicitly of validity about the qualifications in university educations to the stakeholders, rather than that, the education paradigm has shifted from the conventional education to the outcomes-based education, i.e. from teacher-centered learning to students-centered learning. In this paper, a case of the Japan studies program of Universiti Malaya, where implemented National Qualifications Framework based on the learning outcome approach was examined. Meanwhile, we discuss how teachers can embrace Outcomes-Based Education approach, which is formulated by the government, and is focused on the students’ attainment of learning outcomes, moreover we suggested the bottom-up improvement. It was found from the case examined that a teacher was proactive and tried to embrace the "Malaysia Qualifications Framework" for university education in her way. The teacher had been interpreting the meaning of "MQF" while reading the local contexts; e.g. the course outcomes and the program outcomes of the Japan studies program. The teacher had been practicing and reflecting on her course following the Plan-Do-Check-Action cycle. Additionally, she provided feedback to the university. Although only one case was reported, this case implied to us that not only one teacher had given feedback to the university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Malaysia but also many other teachers had done it. Therefore, the "MQF" for university education has been revised. This paper finally claims that teachers should: 1) design your own practices to interpret the outcomes in NQF by yourselves. 2) reflect on your own practices and discuss them with others to improve your practices. 3) not only improve your own practices but also innovate the outcomes in NQF and NQF itself.


학습성과를 중심으로 한 대학교육의 구축은 학습자 중심 교육으로의 전환, 대학의 Accountability 향상, 학 위 자격의 타당성 담보라는 과제로 연결된다.본고에서는 학위 수준마다의 학습성과를 제시한 국가 학위자격 프레임워크(NQF)를 도입한 말레이시아 대학의 교육 실천을 사례로 NQF에서 제시한 학습성과에 대하여 교 사가 어떻게 접근할 수 있는지를 고찰하고 제언했다. 말레이시아의NQF인 MQF는 대학에 강제적으로 도입되 었지만, 말라야 대학 인문계 학부의 현장에서는 혼란이 일어나고 있었다.그래서 교사가 PDCA사이클로 자신 의 교육 실천을 성찰함으로써 MQF에서 제시한 학습성과를 목표로 하여 실천을 디자인할 때의 문제점을 인 식하고 그것을 주체적으로 개선했다.게다가 그 실천을 보텀업으로 대학이나 국가에 피드백함으로써 MQF를 개편하게 되었다.이 실천 사례로부터 교육현장의 상황에 기반하여 필요한 학습성과를 해석하고 그것을 목표 로 한 실천을 구축하는 일본어교사의 주체적 태도에 의해 학습성과의 프레임워크 자체를 바꾸어 갈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따라서 교사에게 요구되는 것은 다음 세 가지이다.(1)톱다운으로 학습성과를 받아들이 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교육현장이나 학습자에게 맞춰서 학습성과를 주체적으로 해석하여 실천을 만들어 내 는 것.(2)다른 사람들과의 논의를 통해서 실천을 끊임없이 성찰하고 개선해 가는 것.(3)자신의 교육 실천이나 그것을 둘러싼 상황, 그리고 학습성과나 그 프레임워크 자체를 보텀업에서 개혁해 가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