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 연구 주제: 대학생의 단절 및 거절 도식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인관계 유능성과 억제형 대처양식의 조절된 조절효과를 검정하였다. · 연구 배경: 대학생의 자살문제를 예방할 수 있는 예측 변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대학생의 단절 및 거절 도식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이 대인관계 유능성과 억제형 대처양식의 조절 수준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분석하였다. · 연구방법: SPSS 23.0과 Mplus 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 연구결과: 단절 및 거절도식이 증가하면 자살생각이 증가하는데, 대인관계 유능성이 증가하면 증가폭이 완화되는 2원 상호효과가 발생한다. 억제형대처양식이 증가하면 2원 상호효과가 감소되는 조절된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억제형 대처양식의 크기가 비교적 높은 수준에서는 대인관계 유능성의 2원 상호효과가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 공헌점 및 기대효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긍정적인 영향을 강화시키기 위해서는 낮은 수준의 억제형대처양식이 필요하다는 중요한 함의를 제공하는 것이다.


· Research topics: In the effects of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s on suicidal ideation in college students, the moderating effects of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inhibitory coping styles were tested. · Research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redictive variables that could prevent the suicide problem of college students. · Differences from prior research: analyze how the effects of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es on suicidal ideation depend on the level of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suppressive coping style values. · Research method: SPSS 23.0 and Mplus 8.0 · Research results: increased disconnection and rejection resulted in increased suicidal ideation, which resulted in a two-way mutual effect of mitigating this increase as interpersonal competence increased. the adjusted adjustment effect, in which the two-way interaction decreases as the suppressive coping style increases, was identified.relatively high level of size of the suppressive coping style, the two-way interaction of interpersonal competence was not significant. · Contribution points and expected effects: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strengthening interpersonal competence' positive eff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