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Aging Voice Index (AVI)의 한국어 번안본(AVI-Korean version, AVI-KR)을 이용하여 노인의 음성문제가 음성문제의 동반 유무 및 성별에 따라 음성관련 삶의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방법: AVI를 한국어로 번안한 후 신뢰도 및 타당도의 검증과정을 거친 AVI-KR을 60세 이상의 음성장애를 동반하지 않은 정상군 50명과 음성장애를 진단받은 환자군 76명에게 시행하였다. 이원변량분석을 통해 음성장애 동반 유무(정상군과 환자군)와 성별(남자군, 여자군)이 음성관련 삶의질에 미치는 영향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정상군의 AVI-KR 총점 평균은 2.28점이었고 환자군은 35.55점으로 환자군이 유의하게 높았다. 정상군은 모두 AVI-KR의 절단점인 11.0점 이하의 점수를 보였으나 환자군 중에선 17.1%가 절단점 이하의 점수를 보였다. 남자군의 총점평균은 16.80점, 여자군은 21.03점으로 여자군이 높았으나 그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환자군만으로 성별에 따른 총점 평균의 차이를 비교했을 때도 여자군이 더 높은 점수를 보였으나(39.16 vs. 31.95) 역시 그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음성장애로 인한 성대의 병리적 차이가 음성관련 삶의질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지만 성차에 의해 나타나는 성대의 조직학적 차이는 음성관련 삶의질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성대의 병리적 문제도 환자군 모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은 아니었다. 그러므로 노인 음성장애 화자의 음성문제를 평가할 때는 검사자 중심의 객관적인 평가뿐 아니라 화자 중심의 자기보고식 평가도 중요하게 시행되어야 하며 노인 집단을 위해 특화된 평가도구에 대한 연구 및 개발도 꾸준히 이루어져야 한다.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oice problems on voice 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with, without voice disorders, according to genders by using the Aging Voice Index-Korean version (AVI-KR). Methods: The AVI-KR, a translated original version of the Aging Voice Index (AVI) into Korean and verified for reliability and validity, was implemented with 50 elderly people without voice disorders (normal group) and 76 elderly people with voice disorders (patient group). Statistical difference according to the group (normal and patient group) and gender (male and female) were analyzed by using a 2-way ANOVA. Results: The mean total score of the AVI-KR of the norm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patient group. All of the normal group participants showed under 11.00, the cut-off score of AVI-KR, but 17.1% of the patient group appeared under the cut-off score. The female group showed higher scores than the male group,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Also, the gender difference of patient groups did not show a statistical significance. Conclusion: The voice-related quality of life in elderly peopl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presence/absence of pathological vocal fold status, but the gender difference due to aging did not cause a difference in voice-related quality of life. Even pathological status of vocal fold did not guarantee a bad influence on voice-related quality of life. Therefore, the assessment of elderly people’s voice problems should be carried out not only with an examiner or expert-centered objective tools; but also patient-centered ones, including self-reporting questionnaires and evaluation tools specialized for the elderly, should be developed continuous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