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각 학년별로 대략 200명의 유치원 아동과 초등학교 1, 2, 3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한글 문식성(단어 읽기, 단어 읽기 유창성, 받아쓰기, 독해)과 인지 능력(음운인식, 명명속도, 좌우 방향 판단, 형태소, 철자 인식, 어휘력)을 검사하였다. 각 학년별로 읽기 부진 아동을 선정하고, 전체 아동과 읽기 부진 아동의 문식성 수행을 비교하였으며 또한 읽기 부진 아동이 주로 보이는 인지적 결손의 유형별 비율을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 읽기 부진 아동은 각 학년별로 15-20% 사이에 해당하였다. 읽기 부진 아동의 문식성 검사의 평균은 전체 아동보다 1년 이상 낮게 지연(delay)되었으며 학년이 높아질수록 단어 읽기, 유창성, 받아쓰기, 음운변동 단어 읽기 수행의 지연은 더 커지는 경향이 있었다. 특히 초등학교 입학하기 직전 시기의 검사에서 민글자(받침 없는 글자)와 받친글자(받침 있는 글자)를 완전하게 읽지 못하는 미습득 아동의 비율은 전체 아동에서 각각 7%와 24%로 나타났으나, 읽기 부진 아동에서는 각각 48%와 95%로 나타나 두 집단 간의 큰 차이를 보였다. 2, 3학년 읽기 부진 아동의 30% 이상은 음운, 명명 속도, 철자, 형태소, 어휘력 결손을 보였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1학년에 민글자와 받친글자의 읽기 미습득 아동을 선별하여 집중적으로 지도할 필요성을 제시한다. 2, 3학년의 읽기 부진 아동이 보이는 인지적 결손 유형은 다양하므로, 개인의 인지적 결손 유형에 적절한 중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In this study, kindergarteners and first-to-third graders were assessed in Korean literacy (word reading, word reading fluency, spelling, and reading comprehension) and cognitive skills (phonological, orthographic, and morphological awareness, as well as naming speed, left-right reversal, and vocabulary).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literacy skills between poor readers and all children in each grade, as well as to determine the rate of cognitive deficits that appear in poor readers. We found that the average score of poor readers was more than a year below that of all children on all literacy tests. In particular, the proportion of children who could not read CV and CVC Gulja (written syllable) in the test immediately prior to entering elementary school was 48% and 95%, respectively, in the poor readers, whereas it was 7% and 24%, respectively, in all children, demonstrating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More than 30% of poor readers in the second and third grades had deficits in all types of cognitive skills except left-right reversal.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identify and intensively train children who have not mastered how to read CV and CVC Gulja in the early first gra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