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한국어의 양상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들은 기술주의적 관점에서 이루어졌으며, “명제에 대한 화자의 태도”라는 소위 Lyons (1977, p. 452)의 정의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본고는 양상에 대한 이러한 관점과 정의가 부적절함을 밝히고, 양상 표현에 대한 우리의직관을 보다 충실하게 반영하는 연구 방법 및 정의를 모색한다. 양상 표현들이 현실은아니지만 현실과 모종의 관련을 맺는 세상들에 관한 것을 표현한다는 직관을 반영하여, 양상을 ‘현실의 일부일 필요가 없는 상황에 대해 언급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범주’로 정의한다. 그리고 이러한 양상의 특성을 이해하는 데는 가능세계의 개념이 매우 효과적임을 논하고, 따라서 가능세계의미론을 수용하는 형식의미론이 양상의 설명에 매우 적합함을 보인다. 한편 본고는 한국어 양상 범주에서 우언적 구성의 역할을 강조한다. 우언적 구성은 매우 풍부한 양상 표현들을 제공해 주며, 또한 매우 정연한 체계를 구성하고 있다. 관련되는 가능세계의 종류에 따라 분류된 인식 양상, 당위 양상 그리고 동적 양상의 세 가지 양상의 하위 분류 모두에서 가능과 필연의 체계적 대립을 구축하고 있음을 확인한다. 그리고 형식의미론적 연구가 가능세계의 종류 및 가능과 필연의 대립을 명시적으로 포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까닭에, 형식의미론적 연구가 우언적 구성의 정연한 양상 체계를 적절하게 설명할 수 있음을 보인다.


Most of studies on Korean modality have been done with the descriptive point of view, heavily based on the so-called Lyons’ (1977, p. 452) definition, “the speaker’s attitude on a proposition”. This paper aims to reveal the inadequacy of such a perspective and definition. It also aims to propose an alternative definition of modality as the category which is used to speak about the situations which need not be a part of actuality. The definition reflects our intuition that modal expressions manifest things about the worlds which are not actuality but related to it in a particular sense. This paper shows that the concept of possible worlds is very useful in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modality. Furthermore, it demonstrates that formal semantics approach should be appropriate to account for modality because the approach contains possible worlds semantics. The currrent paper emphasizes the role of periphrastic constructions in the category of modality in Korean. The periphrastic constructions offer various modal expressions, indicating a well-organized system of modality. It is found that the contrast of possibility and necessity exists through all the three subcategories of modality: epistemic, deontic, and dynamic modalities. Thus, as formal semantics has efficient methods to treat possible worlds as well as the contrast of possibility and necessity, it apparently provides an explicit explanation of the modal system of Korean periphrastic constru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