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의 문제 해결 특성을 분석할 수 있는 Model Eliciting Activity (이하 MEA) 활동을 개발하고 실제 고등학교 수업에 적용하여 융합적 문제해결력과 환경 소양, 수업에 대한 인식에 어떠한 역할을 미치는지 조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개발된 MEA활동의 주제는 미세먼지 청정학교 위치 선정하기이며, 수업 내용은 지구과학Ⅰ 대기의 운동과 순환 단원에 미세먼지에 관한 내용에 기반하여 구성하였다. 고등학교 2학년 79명의 학생들이 수업에 참여하였으며 융합적 문제해결력 검사지, 환경소양 검사지와 학생들의 인터뷰를 주요 데이터로 수집하였다. 그 결과 미세먼지 청정학교 위치 선정 MEA활동 이후 융합적 문제해결력은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 영역의 융합적 성향, 융합적 사고, 융합적 소양의 영역에서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MEA활동 이후 환경 소양 모두 유의미한 변화를 나타냈다. 환경소양의 하위 영역 중에서는 기능, 실천, 참여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수업을 통해 학생들의 융합적 사고력과 환경적 실천, 환경적 참여에 대한 긍정적인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MEA activities that can analyze students' problem-solving characteristics and apply them to actual high school classes to investigate their role in students’ convergent problem-solving skills, environmental literacy, and perception of classes. The theme of the MEA activity developed for this study is finding fine dust free school locations, and the contents of the lesson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Atmospheric movement and circulation unit of Earth Science I curriculum. 79 high school sophomores participated in the activities. The main data sources for this study are convergent problem-solving test, interview with students, and environmental literacy test. The result shows that convergent problems-solving test score was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he MEA activitie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ub-categories of convergent tendency, convergent thinking, and convergent literacy. Students’ environmental literacy score were also significant improved after the activities. Among the sub-categoreis of environmental literacy, function, practice, and participation scores improved significantly. Finally, the analysis result of student interview about their perceptions of the lessons shows that the MEA activities had positive impact on students' convergent thinking skills, environmental practice, and environmental particip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