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리쾨르의 해석학과 윤리학은 인간의 취약성에 대한 철저한 반성을 통해 제출되었다. 인간의 취약성에 대한 리쾨르의 관심은 우리 삶에 고통을 초래하는 잘못 내지 악을 문제 삼는 것에서 비롯되었다. 리쾨르의 초기 저작 잘못을 저지를수 있는 인간은 그의 철학적 인간학의 핵심 텍스트다. 이 글은 인간의 취약성과 불균형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리쾨르의 철학적 인간학을 살펴본다. 특히 리쾨르 후기 해석학과 윤리학을 염두에 두고 철학적 인간학의 맥락에서 리쾨르가 인간의 불균형과 취약성을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를 다룬다. 먼저 인간의 불균형과 취약성에대한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리쾨르의 철학적 인간학의 특징을 간략하게 정리한다.(2장) 그리고 리쾨르가 철학적 인간학의 중심을 차지하고 있는 유한성 개념을 재고하며 불균형이라는 개념을 강조했음을 보여주고(3장), 사유와 행위의 차원에서 이의미를 살펴본다.(4장) 그 다음으로 인간의 불균형이 자아내는 취약성, 그 중에서도 취약성이 응축되어 나타나는 정서적 취약성에 대해 살펴보면서, 리쾨르가 제시한‘잘못을 저지를 수 있는 인간’과 ‘할 수 있는 인간’의 의의를 제시한다.(5장)


Ricoeur’s hermeneutics and ethics were presented through a reflection on human fragility. Ricoeur’s interest in human fragility stemmed from taking into account the faults or evils that bring out suffering in our lives. Ricoeur’s early work, Fallible Man, is the core text of his philosophical anthropology. This article examines Ricoeur’s philosophical anthropology focusing on human fragility and disproportion. In particular, this paper tries to include with how Ricoeur treats the terms in the context of philosophical anthropology, with his hermeneutics and ethics in mind. First, before a discussion of human disproportion and fragility, I will briefly summarize the characteristics of Ricoeur’s philosophical anthropology(2). And I try to present that he emphasized the concept of disproportion while rethinking the concept of finitude that occupies the center of philosophical anthropology(3). Then I examine the meaning of it in terms of knowing and acting(4). Next, by examining the fragility shaped by human disproportion, especially the emotional fragility, it reveals significance of ‘fallible man’ and ‘capable’(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