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공급망 민첩성이란 기업이 시장 변화에 대해 민첩하게 반응하고 대응하는 능력으로, 그동안 이것의 선행요인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왔으나 대부분 기업의 내부 요소에 초점을 두었고, 연구범위가 단일 국가만을 대상으로 하며, 공급망 파트너들을(공급기업, 고객기업) 종합적으로 고려하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관계적 관점(relational view)에 기반해 민첩한 공급망 구축을 위해서는 공급망 파트너들과의 협력을 통해 개발될 수 있는 외부관계역량이 필요하다고 제안한다. 즉 제조기업을 중심기업으로 두고 공급망 파트너들의 제조기업에 대한 높은 신뢰가 양방향 정보공유와 공급망 공동활동을 촉진하고 이러한 협력활동들이 최종적으로 제조기업의 공급망 민첩성을 향상시킨다고 가설을 상정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전 세계 15개 국가의 전자, 기계, 수송산업에 속한 총 219개 제조기업으로부터 수집한 데이터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했다. 실증분석 결과, 다양한 공급망 협력활동은 제조기업의 공급망 민첩성 확보를 용이하게 하는데, 이러한 과정에는 공급망 파트너들의 제조기업에 대한 신뢰가 기반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공급망 파트너들과 서로 공유한 생산 및 운영 정보는 그 자체만으로는 공급망 민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지만, 공급망 공동활동을 통해 공급망 민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민첩한 공급망 구축을 위해서는 내부 역량만큼이나 기업 경계 외부의 자원인 관계 역량 또한 중요하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보였다는 점에서 이론적 발전에 기여하며 기업의 향후 공급망 관리 전략 및 목표 설정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Supply chain agility is defined as a firm’s ability to respond nimbly to market changes. Although existing studies examine the diverse antecedents of supply chain agility, most of them primarily focus on the firm’s internal capabilities as antecedents of supply chain agility, and the scope of research is limited to a single country. Based on the relational view of a firm, in this study, we illustrate that the external capability of the firm created by cooperation with supply chain partners can be an important antecedent of supply chain agility. We hypothesize that relational norms (i.e., trust) and cooperative behaviors between supply chain partners (i.e., two-way information sharing with supplier/buyer firms, supply chain coordination) are the sources of supply chain agility. To test the hypotheses, we employ survey data collected from 219 manufacturing firms in the electronics, transportation, and machinery industries in 15 countrie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dicates that trus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two-way information sharing and supply chain coordination, which, in turn, positively impacts supply chain agility indirectly. In addition, supply chain coordination directly affects supply chain agility, whereas two-way information sharing indirectly leads to supply chain agility via supply chain coord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