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최근 증가하고 있는 시설거주 노인을 대상으로 건강문제로 보고되고 있는 우울과 수면장 애에 대하여 웃음요법의 적용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시설거주 노인에게 웃음요법을 적용한 국내·외 실험연구들을 대상으로 체계적 고 찰을 통해 연구 특성을 파악하고, 메타분석을 통해 우울과 수면장애에 대한 전체 효과크기와 중재 변인 에 따른 효과크기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최종 선정된 12편의 실험연구를 체계적으로 고 찰하고 결과 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전체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웃음요법은 시설거주 노인의 우울 감소 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으며, 수면장애 감소에는 유의한 효과가 없었다. 중재 변인에 따라 분석한 결과 웃 음요법은 시행 횟수 10회 미만, 중재 소요 시간 400 분 미만이나 400-1,000분 미만에서 우울 감소에 효과 적이었다. 수면장애의 경우 전체 효과크기는 유의하 지 않았으나 중재 소요 시간 300분 미만에서 수면장 애 감소에 효과적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웃음요법이 시설거주 노인의 우울 감소에 효과적이며, 이를 적용 할 때 시행 횟수와 중재 소요 시간과 같은 중재 변 인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시설거주 노 인의 수가 증가하고 있고, 우울과 수면장애와 같은 건강문제의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추후 연구에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시설거주 노 인의 우울과 수면장애 감소를 위한 적용지침이 개발 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laughter therapy on depression and sleep wake disorders among the elderly in residential facilities using a systemic review and meta-analysis. Twelve databases were searched. Two researchers independently performed the selection of the studies, data coding and assessment. The risk of bias was assessed using risk of bias (RoB) and risk of bias assessment tool for non-randomized studies (RoBANs). To estimate the effect size, meta-analysis of the studies was performed using R version 4.04. Out of the 1,122 retrieved articles, on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CT) and eleven non-randomized controlled trials (non-RCTs) were selected for analysis. The overall effect size of eleven studies on depression was determined to be -1.04 (95% Cl: -1.53∼-0.54, p<.001).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effect of below ten sessions and the effect of below 400 minutes’and 400 to 1000 minutes’interventions on depression. The overall effect size of five studies on sleep wake disorders was 0.83 (95% Cl: -0.26∼1.93, p=.136), which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effect of below 300 minutes’interventions on sleep wake disorders. Laughter therapy was an effective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 to reduce depression among the elderly in residential facilities. The findings also suggest that guidelines for laughter therapy need to be developed considering the number of sessions and a duration of intervention to reduce depression and sleep wake disorders of the elderly in residential facil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