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코로나는 한국 사회 교육 현실을 적나라하게 드러내 준 재난적 상황이었다. 대부분의 사회 문제들과 마찬가지로, 교육 문제도 코로나로 인한 새로운 현상이라기보다그동안 누적되어 왔던 한국 사회의 교육 문제를 새롭게 환기해 준 측면이 적지 않다. 이 논문은 한국 교육 현실에 기반하여 코로나가 들추어 낸 우리 사회 교육 문제와 코로나 이후 교육적 복구책을 분석하여 코로나 이후 교육적 과제에 대해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코로나 시기를 거치며 두드러지고 있는 교육 불평등 문제부터 학습 동기와 가치, 자신감 감소 등 정서적 문제에 이르는 코로나로 인한 교육적 상흔을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코로나 이후 교육 복구를 위한 교육부의 지원정책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코로나와 같은 예기치 않은 재난 상황을 포함하는 불확실성이 지배하는 미래 사회에서 향후 어떤 교육적 대응과 준비가필요한지를 탐색하였다. 궁극적으로 이 논문은 코로나가 우리 사회가 남긴 교육적과제는 단기적인 학습 보충 등 임시적인 지원을 넘어서야 함을 주장하고자 한다. 다시 말하면, 포스트 코로나(Post-Korona)를 준비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문제를봉합하는 부분적인 교육 개혁(reform)을 넘어 교육 패러다임의 전면적인 전환(transformation)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COVID-19 was a disaster that exposed the educational problems of Korean society. Like most social problems, it can be said that education problems are not new due to COVID-19, but have revealed the accumulated educational problems of Korean society. This paper aims to present the educational tasks left in the future by critically analyzing the educational problems and educational restoration policies uncovered by COVID-19. To this end, first, the educational scars left by COVID-19 were summarized, ranging from prominent educational inequality problems to emotional problems such as learning motivation, value, and confidence reduction. Next, the support policy for restoration of education after COVID-19 was critically analyzed. Finally, we explored what educational responses and preparations are needed in a future society dominated by uncertainties including unexpected disaster situations such as COVID-19. Ultimately, this paper aims to argue that the educational task left by COVID-19 in our society should go beyond temporary support such as short-term learning supplementation. In other words, it was discussed that preparing for Post-Corona requires a transformation of the educational paradigm beyond partial reform of education that seals the current probl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