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구비 전승되는 〈여우누이〉 설화를 대상으로, 이 설화의 ‘불편함’, ‘미확정성’ 등을 ‘그로테스크’ 개념을 통해 구명하려고 하였다. 특정 장면의 시각적 그로테스크함을 넘어 여우누이라는 존재, 그리고 설화 자체에서 발생하는 그로테스크를 살피고자 하였다. 먼저 부모의 기녀치성은 이 설화가 배경으로 하는 사회 그리고 전승자들의 ‘상식’과 이미 어긋난다는 점에서 함께 있으면 곤란한 것들을 공존하도록 만든다. 부모의 ‘딸 낳게 해달라’라는 기원은 생명에 대한 기원과 죽음을 불러오는 저주를 하나의 언술 안에 담기도록 함으로써 그로테스크를 강화한다. 또한 여우누이라는 캐릭터는 ‘구성’상으로도 이질적인 것들이 한데 섞여 있으며 그것들이 융합되기는커녕 부조화의 상태로 인간 세계와 계속 충돌하기만 하는 그로테스크적 존재이다. 대표적으로 여우누이가 가축을 포식하는 것은 낯익은 대상이 혼란을 초래하는 그로테스크를 구현한다. 부모가 여러 아들들의 목격담을 외면하는 것 또한 익숙한 대상으로부터의 낯섦을 드러내며, 여우누이가 잔인하게 가축을 살해하고 그 내장을 빼 먹는 행위 역시 외양과 행위의 충돌 및 육체적 무절제의 그로테스크를 표출한다. 이와 같은 여우누이의 그로테스크는 이 캐릭터의 ’무지향성’을 시사한다. 이러한 그로테스크한 흥미와 쾌감은 어떠한 가치를 추구하거나 고차원적 미의식을 추구하지도 않는다는 점에서 경계적이다. 아울러 여우누이가 오빠를 뒤쫓다 퇴치되는 장면에서는 오빠를 음식으로 먹겠다고 하면서 먹을 수 없는 대상을 먹으려는 모순적 발화가 반복됨에 따라 육체와 관련된 부조화의 그로테스크가 강화된다. 여우누이가 퇴치되더라도 예전의 가족이 완전히 회복되지 않는다는 점은 그로테스크가 지니는 ‘미해결’을 잘 보여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convenience” and “uncertainty” of the Fox Sister folktale through the concept of “the grotesque.” Beyond the visual grotesque of a specific scene, I tried to examine the grotesque in the mere existence of the fox sister and the grotesque that occurs in the tale itself. First, the parents’ wish for a daughter makes things coexist that cannot coexist, given that it is already a wish that defies the society in the story and the “common sense” of the transmitters. The parents’ wish for a daughter eventually becomes a curse that ruins the family, resulting in a conflict between the wish and the curse, as conveyed in the discourse. In addition, as the fox sister is an unnatural being, a hybrid of two heterogeneous species, she is a grotesque being that amplifies collisions with the human world in a state of incongruity rather than converging them, which leads to disharmony. The fox sister’s livestock predation embodies a grotesque in which familiar targets cause confusion. Distrustful of their grown-up sons, the parents also reveal their confusion between uncanniness and familiarity, and the fox sister’s brutal predation also reveals the clash of appearance and behavior and the grotesque of physical immoderation. The fox sister’s grotesque status reflects the character’s lack of specific aims. These grotesque interests and pleasures are related to “liminality” in that they do not pursue any value or high-level aesthetic consciousness. Furthermore, in the scene where the fox sister chases after her brother and is eliminated, the contradictory utterance of eating an inedible object (a person who is called “brother”) is repeated, and the grotesque of disharmony appears. Even if the fox sister is killed, the unresolved state remains in that the complete family cannot be recovered, which shows the “unresolved” in the grotesq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