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1인가구가 현대사회의 새로운 전형으로 부상함에 따라 관련하여 다양한 논의들이 진행되고 있다. 학계는 경제적으로 취약한 1인가구를 주요 정책대상으로 간주하고 이들이 겪는 어려움을 드러내는 데 집중해왔으며, 미디어는 골드미스, 골드미스터로 불리는 경제적으로 여유로운 1인가구를 트렌드세터이자 새로운 소비주체로 그려왔다. 그러나 경제적 측면만 고려했을 시, 1인가구의 일상을 좌우하는 사회적 관계망과 문화적 역량을 간과하게 될 우려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인간의 자원을 경제자본, 사회자본, 문화자본으로 세분한 Bourdieu의 다차원적 자본의 관점을 토대로, 저소득층에서 고소득층에 이르는 1인가구 22사례의 각 자본의 수준과 내부구조 및 상호역동을 분석했다. 연구결과, 경제적으로 여유로운 1인가구 중에도 사회자본·문화자본이 열악한 사례들이 있는 반면, 경제적으로 취약한 1인가구라도 사회자본·문화자본이 높은 사례들이 존재했다. 이러한 사회자본·문화자본의 수준은 1인가구의 삶의 질과 만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분석내용을 토대로 경제자본과 더불어 사회자본과 문화자본이 1인가구의 삶에서 갖는 중요성을 확인하면서 이에 걸맞는 사회복지적 대안을 모색하였다.


Single-person households have emerged as a new normal of modern society, and there are a lot of academic discussions about people living alone. Whereas scholars have mainly focused on economically vulnerable one-person households, the media has spotlighted well-off singletons as trendsetters. However, alongside the economic level, social networks and cultural capabilities have significant impacts on the daily lives of people living alone. Therefore, using Bourdieu's multiple types of capital(i.e.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capital) as a theoretical view, this study analyses the level, structures, and dynamics of multiple capitals in 22 cases of one-person households. In doing so, this study aims to highlight the importance of social capital and cultural capital in the life of one-person households regardless of the economic level and seeks social welfare alternatives reflecting the resul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