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1931년 일본의 만주사변 도발로 시작된 아시아·태평양전쟁은 15년만인 1945년 일본의 패전과 연합국의 승리로 끝났다. 일본은 1937년 중국과의 전면전쟁인 중·일전쟁을 도발했고 1941년 12월 미국령 하와이의 진주만을 공격함으로써 미국과의 전면전을 시작했다. 따라서 15년에 걸친 아시아·태평양 전쟁의 일환으로 전개된 1941년 시작된 제2차세계대전 태평양전역에서 미국은 연합국의 일원으로 중국과 함께 일본에 대항하여 싸웠다. 따라서 미국과 중국이 일본의 침략을 물리친다면 일본의 식민지였던 한반도가 독립될 가능성이 고려되는 것은 자연스러운 역사적 과정이었다. 따라서 당시 미국의 최고지도자였던 프랭클린 D. 루스벨트(Franklin D. Roosevelt) 대통령은 전후 한반도의 지위에 대해 심사숙고했다. 그의 결론은 한반도를 일제의 식민지로부터 독립시키되 일정 기간의 유예를 두는 신탁통치안이었다. 신탁통치안은 즉시 독립은 아니었지만 그렇다고 독립에 대한 부정은 아니었다. 신탁통치안은 ‘즉시 독립’과 ‘식민지배 지속안’이라는 양단(兩端) 사이에서 독립 쪽으로 더 나아간 구상이었다. 제2장에서는 루스벨트의 다국적 훈정(후견제) 창안과정을 독립보장이라는 이상과 英-蘇-中 견제를 통한 국익 확보라는 현실을 결합시켜 복합적으로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한반도의 자치능력에 대한 미국 국무부의 부정적 인식을 다루었으며 제4장에는 미국의 중경 임시정부 불승인 결정을 언급했다. 3장과 4장에서 다룬 미국의 한국 즉시 독립에 대한 부정적 평가가 카이로선언의 한반도 조항에 반영되었음은 다음 장에서 확인되었다. 5장에서는 한국 관련 카이로선언 결정 과정을 루스벨트의 주도 중심으로 살펴보았던 것이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외교부와 중국 국민당 정부의 중경 임정 승인요청에 대해 미국 국무부는 1942년 이래로 거부했다. 한국인들의 자치능력이 부족하다는 국무부의 평가를 신뢰했던 루스벨트 대통령은 즉시 독립은 불가능하며 필리핀의 경우처럼 자치(훈정)기간인 신탁통치를 거쳐야만 독립될 수 있다고 믿었다. 그래야만 혼란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인식이었다. 거기에 더하여 한반도의 국내외 독립운동 세력들은 구심점이 없고 분열되어 있으므로 국무부의 임정 승인 거부는 루스벨트의 신탁통치 연한 부과에 더욱 힘을 실어주었다. 따라서 1943년 11월 카이로회담에서 루스벨트는 기존에 염두에 두었던 한반도 신탁통치 실시안을 임정 주도 하의 즉시 독립을 선호하는 장제스의 희망을 외면하고 관철했다. 한반도의 미래에 대해 in due course(우회적으로 은폐된 신탁통치라는 방식을 함축한 표현)를 거친 후 독립하게 된다고 공약했던 것이다. 한국인들의 자치경험 부족에 대한 미국의 평가와 한국 독립운동세력의 분열 상황은 미국으로 하여금 중경 임시정부의 승인요청을 거부하게 만들었다. 이러한 상황들은 루스벨트의 한국 즉시 독립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심화시켜 결국 루스벨트가 신탁통치안을 내포한 카이로선언의 한반도 조항을 산출했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 한인이 자치능력이 부족하다는 미 국무부 평가에 영향받은 루스벨트가 신탁통치안의 한반도 적용을 결정했다. 이상주의적 관점에서 보면 윌슨주의를 계승하고자 했던 루스벨트의 이상 및 핵심외교정책결정자들의 뉴딜적 이상주의, 필리핀에서의 통치경험[훈정]에 대한 루스벨트의 反식민주의적·이상적 해석, 당시 국내 여론으로 조성된 反식민주의와 피압박민족에 대한 연민 등이 신탁통치구상에 영향을 미친 이상주의적 요소들이다. 그런데 실제로 이러한 이상만 가지고 실현될 수 없었던 현실이 엄연히 존재했다. 루스벨트가 새롭게 창안한 ‘훈정(후견제)’을 수식하고 있는 ‘다국적’이라는 용어는 영국과 소련, 그리고 중국을 견제하여 미국의 국익을 확보하려는 현실주의적 요소의 발현이었다. 식민주의의 영향아래 현실화되었던 위임통치와 차별화되는 反식민주의적인 독립보장안으로서의 후견제라는 이상에다가 국가이익을 확보하려는 현실이 결부된 것이 루스벨트식 다국적 훈정이라고 할 것이다. 즉시독립을 원했던 김구 등 독립운동가들은 1943년 12월 카이로선언이 발표되기 전후(前後) 신탁통치안에 대해 반대 의사를 표명했다.


The Asia-Pacific War, which began with Japan’s provocation of the Manchurian Incident in 1931, ended with Japan’s defeat and the victory of the Allies in 1945, 15 years later. Japan provoked the Sino-Japanese War, an all-out war against China in 1937, and began an all-out war with the United States by attacking Pearl Harbor in Hawaii in December 1941. Therefore, throughout the Pacific War II, which began in 1941, as part of the 15-year Asia-Pacific War, the United States fought against Japan with China as a member of the Allied Forces. Therefore, it was natural to consider the possibility of independence of the Korean Peninsula, which was a Japanese colony, if the United States and China defeated Japan’s invasion. Therefore, President Franklin D. Roosevelt, then the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pondered over the postwar status of the Korean Peninsula. His conclusion was a trusteeship plan that made the Korean Peninsula independent from the Japanese colonial rule but suspended i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trusteeship proposal was not immediately independent, but it was not a denial of independence. The trusteeship plan was an idea that went further toward independence between both ends of “immediate independence” and “continuation of colonial rule.” In Chapter 2, Roosevelt’s process of creating a multinational discipline (guardian system) was examined in combination with the ideal of guaranteeing independence and the reality of securing national interests through checks between the United Kingdom, Soviet Union, and China. Chapter 3 deals with the negative perceptions of the U.S. State Department on the autonomy of the Korean Peninsula, and Chapter 4 mentions the U.S. decision to disapprove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Chinese and Chinese governments. It is confirmed in the next chapter that the negative evaluation of the U.S. immediate independence of Korea covered in Chapters 3 and 4 was reflected in the provisions of the Cairo Declar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Chapter 5 examines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the Cairo Declaration related to Korea, focusing on Roosevelt’s initiative. The U.S. State Department has rejected requests from the Provisional Republic of Korea in Chungking and the Chinese Kuomintang Government to approve the Provisional Republic of Korea since 1942. President Roosevelt, who trusted the State Department’s assessment that Koreans lacked autonomy, believed that independence was impossible immediately and that independence could only be achieved through trusteeship, which is the period of autonomy, as in the Philippines. It was a perception that only then could confusion be prevented. In addition, since the Korean Peninsula’s domestic and foreign independence movement forces were divided, the State Department’s refusal to approve the Provisional Republic of Korea further supported Roosevelt’s imposition of the trusteeship period. Therefore, at the Cairo Conference in November 1943, Roosevelt turned a blind eye to Chiang Kai-shek’s hope of immediate independence under the leadership of the Provisional Republic of Korea and carried out the previously considered trusteeship on Korea. He pledged to become independent of the future of the Korean Peninsula after going through an indue course (an expression that implies an indirectly concealed trusteeship rule). The U.S. assessment of Koreans’ lack of self-government experience and the division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forces could deepen Roosevelt’s refusal to approve the Provisional Republic of Korea and Korea’s immediate independence, eventually producing Cairo Communique on Korea. From an idealist point of view, Roosevelt’s idealism and core diplomatic policymakers’ New Deal idealism, Roosevelt’s anti-colonial and ideal interpretation of US ruling experience in the Philippines, and anti-colonialism created by domestic public opinion at the time, and compassion for people of colonies. However, there was a reality that could not be realized only with these ideals. The term “multinationality”, which modifies Roosevelt’s newly created “guardian system”, was an expression of a realist element to secure the interests of the United States by checking Britain, the Soviet Union, and China. The Roosevelt-style “multinational political training system” is mixed to the ideal of guardianship as an anti-colonial independence differentiated from the mandate system under the influence of colonialism and the reality of securing US national interest. Independence activists such as Kim Koo, who wanted immediate independence, expressed opposition to the trusteeship plan after 1942.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 , , , , , , , , , , , , , ,

Franklin D. Roosevelt, Chiang Kai-shek, Kim Koo, World War II, Asia-Pacific War, Japan, USA, China, Korea, Independence, Trusteeship, Cairo Declaration, in due course, the Provisional Republic of Korea in Chungking, anti-colonialism, multinational political training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