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성인진입기 청년들의 아동기 정서적 외상과 경계선 성격장애 성향의 관계에서 불안정 성인애착(불안애착, 회피애착)과 내면화된 수치심이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검증하였다.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만 18세-25세의 성인남녀 388명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Mplus 8.6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분석을 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동기 정서적 외상과 불안정 성인애착, 내면화된 수치심과 경계선 성격장애 성향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기 정서적 외상과 경계선 성격장애 성향의 관계에서 불안정 성인애착(불안애착, 회피애착)과 내면화된 수치심을 매개로 한 경로를 검증한 결과, 회피애착에서 경계선 성격장애 성향으로 가는 경로가 부적으로 유의한 것을 제외하고 모든 경로가 정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기 정서적 외상과 경계선 성격장애 성향의 관계에서 불안애착의 단순매개효과와 내면화된 수치심의 단순매개효과가 정적으로 유의하였고, 회피애착의 단순매개효과가 부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아동기 정서적 외상과 경계선 성격장애 성향의 관계에서 불안애착과 내면화된 수치심의 이중매개효과가 정적으로 유의하고, 회피애착과 내면화된 수치심의 이중매개효과가 부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s of insecure adult attachment (attachment avoidance, attachment anxiety) and internalized sham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emotional trauma (CET) and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BPD) traits. 388 Korean participants completed online questionnaires.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Mplus 8.6. Results: Positive correlations existed among all variables. All paths between CET and BPD traits were positively significant, except for the path from attachment avoidance to BPD traits, which was negatively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ET and BPD traits, the mediating effects of attachment anxiety and internalized shame were positively significant, while the mediating effect of attachment avoidance was negatively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ET and BPD traits,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attachment anxiety and internalized shame was positively significant, while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attachment avoidance and internalized shame was negatively significant.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