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수학에 대한 학생의 정의적 특성을 조사하고, 차기 수학과 교육과정 개정에 활용 가능한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 5학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까지 학생들을대상으로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 검사를 실시하고, 결과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 검사에 참여한 학생들은 초등학생 593명, 중학생 1,050명, 고등학생 1,029명으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의 하위 영역인 자신감, 흥미, 가치, 학습의욕에서 고유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학년이나 학교급에 따라 수학에 대한 학생의 정의적 특성에 차이가 있었다. 셋째, 학년이나 학업성취도는 수학에 대한 학생의 정의적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친 반면에, 성별은 고등학교에서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역 특성에 따라서는 수학에 대한 학생의 정의적 특성에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제언은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수학에 대한 학생의 정의적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정의적 영역의 하위 요소별로 차별화된 교육이 필요하다. 둘째, 학년이나 학교급을 고려한 수학에 대한 학생의 정의적 특성 함양 교육이 필요하다. 셋째, 학생의 배경 변인에 따라차별화된 수학에 대한 학생의 정의적 특성 함양 교육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in mathematics and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be used for the next revision of mathematics and curriculum. For this purpose, the affective characteristic test was conducted for students from the fif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to the second grade of high school,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593 elementary school students, 1,050 middle school students, and 1,029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unique differences in confidence, interest, value, and motivation to learn, which are sub-domains of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s.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on mathematics according to grade or school level. Third, grade or academic achieveme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tudents' affective characteristics on mathematics, whereas regional size did not affect the students' affective characteristics on mathematics. The following suggestions could be drawn from the above study results. First, in order to improve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on mathematics, differentiated education for each sub-element of the affective domain is required. Second, it is necessary to educate students about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s considering the grade or school level. Third, it is necessary to educate students on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iated mathematic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he stu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