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의도주의와 반의도주의의 현재적 논쟁을 철학적으로 고찰했다. 이는 해석의 처소, 해석의 조건, 해석의 구조, 창작자의 존재에 관한 논의를 통해 이루어졌다. 논의의 결과 온건한 실제 의도주의의 주장과는 달리 인간은 공통성 안에 존재하며, 그런 한에서 해석에 있어서 공적인 요소의 바깥을 상정하는 사유는 수정되어야 한다. 한편 시간성을 가지고 역사적으로 존재하는 인간의 존재론적 구조에 주목한다면, 창작물은 해석이 수행되는 그때마다 새로운 의미를 부여받는다. 따라서 어떤 유일한 의미를 가질 수 없는데, 이것은 의의가 아니라 바로 창작물이 갖는 진정한 의미이다. 창작자의 의도를 파악하는 추상적인 작업은 가능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것이 일종의 외적 반성에 불과하다는 점에서 바람직한 이해도 아니다. 그런 점에서 창작자를 창작물의 독점적인 주인으로 옹립하고 창작자의 의도가 창작물의 의미를 확정한다는 사유는 수정되어야한다. 본고의 논의가 예술 작품을 향유하는 현상 및 이해와 해석의 본성을 재조명하고 재규명하는 작업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In this paper, we philosophically studied the recent debates between Intentalism and Anti-Intentalism. We did this through discussions regarding the place of interpretation, the conditions of interpretation, the structure of interpretation, and the creator. As a result, contrary to the argument of ModerateActual Intentivism, humans exist within Gemeinsamkeit, so the idea of outside the public element in interpretation must be modified. On the other hand, if you pay attention to the historical ontologisch structure of humans with Zeitlichkeit, the creation has a new meaning whenever the interpretation proceeds. Therefore it cannot have only one meanining, which is not the signification, but the true meaning of the creation. Abstract work to grasp the creator's intentions is not only impossible, but it is not a desirable understanding in that it is only äuβere Reflexion. Therefore, the reason that the creator is the exclusive owner of the creation and the creator's intention confirms the meaning of the creation should be revised. It is the auther’s hope that this discussion will be of help in re-examining and clarifying the nature of the phenomenon,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of art wor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