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4차 산업혁명과 팬데믹 시대로 인한 급속한 노동환경 변화에 대처해야하는 현대 직장인들의 생애경력적응 척도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1에서는 성별, 연령대별, 기업규모별로 균등표집한 직장인 117명을 대상으로 한 개방형 설문을 하였고, 13개 요인 100 문항의 생애경력적응 척도를 개발하였다. 연구 2에서는 연구 1에서 만든 척도로 직장인 321명에게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10요인 79문항이 추출되었다. 연구 3에서는 직장인 723명에게 예비조사에서 도출된 문항으로 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조사는 생애경력적응의 구성개념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직장인 723명의 자료를 무작위로 두 집단으로 구분하여 교차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생애경력적응 척도와 그 하위요인들이 직장인의 생애경력적응의 정도를 적절하게 측정하는 지를 검토하기 위해 그룹1에서는 탐색적 요인분석을, 그룹2에서는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룹1에서 실시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7요인 40문항이 추출되었다. 7개 요인은 산업환경변화인식, 노동환경변화인식, 생애경력계획, 미래경력탐색, 미래경력준비, 현재경력적응, 네트워킹으로 구성되었다. 그룹2에서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형의 적합성이 확인되었다. 생애경력적응의 하위요인들은 경력관리행동과 높은 수준의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수렴타당도가 검증되었으며, 삶의 만족, 희망, 적응수행, 경력몰입척도 간의 상관분석 결과, 모든 요인에서 정적상관이 유의하여 준거관련 타당도도 확보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학문적, 실무적 의의와 제한점 및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life-career adaptability scale of modern employees who have to cope with rapid changes in the working environment due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Pandemic Era. Research 1, an open-ended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o 117 employees who were uniformly sampled by gender, age group, and company size, and the scale was developed with 100 items of 13 factors. Research 2,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on 321 employees using the scale. The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EFA), 79 items of 10 factors were extracted. Research 3, the data of 723 employee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compositional concept of the Life-Career Adaptability. In order to examine whether the scale and its sub-factors properly assess the degree of life-career adaptability of employees, Group 1 conducted an EFA, Group 2 conducted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Result of the EFA, 40 items of 7 factors were extracted. Seven factors consist of Industrial Environment Change Awareness, Work Environment Change Awareness, Life-Career Plan, Future Career Exploration, Future Career Preparation, Current Career Adapting and Networking. CFA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urned out that it met the modeling fit criteria. These life-career adaptability factors were high rate of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Career Management Behavior, supporting convergence validity, and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criteria such as Life Satisfaction, Hope, Adaptive Performance, and Career Commitment, confirming criterion-related validity of the scale. Finally,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