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일본의 영어 교과서에 응집장치인 등위 접속사 ‘and’의 사용에서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중학교 3학년 영어 교과서 각 2종, 총 4종의 읽기 지문에 포함된 312개의 ‘and’ 등위 접속사를 Quirk et al. (1985)에 따라 문법적 그리고 의미적 측면으로 분석하였다. 문법적 특성 분석 결과, 한국과 일본의 중학교 영어 교과서의 등위 접속사 ‘and’는 S, VP, NP 연결을 많이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한국 영어 교과서에서는 VP 연결이 가장 많이 발견된 반면, 일본 영어 교과서는 NP연결을 가장 많이 포함하고 있었다. AP, AdP, PP연결은 두 나라 영어 교과서 모두에서 매우 제한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의미적 특성 분석 결과, 한국 영어 교과서가 일본 영어 교과서보다 더 많고 다양한 등위 접속사 ‘and’ 의미연결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두 나라의 영어 교과서 모두에서 대조와 유사의 의미연결은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나타난 등위 접속사 ‘and’의 사용 양상과 제한점은 향후 교과서 연구 및 제작에 고려할 필요가 있겠다. 아울러, 진정성(authentic)있는 입력으로서의 영어 교과서의 역할이 더 강화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and compare the usage of the English coordinator ‘and’ for Korean and Japanese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To this end, 312 sentences containing ‘and’ were selected from four English textbooks of Korea and Japan. The sentences were analyzed by their syntactic and semantic aspects of the coordinator according to Quirk et al. (1985).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syntactic aspects, both Korean and Japanese English textbooks included and-coordinated S, VP, NP constituents most. Particularly, Korean English textbooks included more VP constituents, while Japanese English textbooks included more NP ones. Second, the uses of AP, AdP, PP and-coordinated constituents were limited in both Korean and Japanese textbooks. In terms of semantic aspects, sentences from the Korean textbooks showed more various meanings of the coordinator ‘and’ than their Japanese counterparts. These study findings need to be considered in developing English textbooks of Korean and Japan in the future, which therefore will result in strengthening the role of English textbooks as an authentic input in both n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