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금융위기 이후 장기간의 경제침체로 인해 청년은 양질의 일자리를 찾지 못하고 비정규직 등으로 몰리게 되었다. 이로 인해 청년의 삶은 점점 악화되었고 과거와 달리 사회에 제대로 진입하지 못하고 있다. 청년취업의 위기는 이제 청년 삶의 위기로 확대되면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다양한 청년정책을 추진하게 되었다. 청년은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정책 마련을 지속적으로 요구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지방자치단체는 청년기본조례를 마련하였다. 이루 청년정책에 대한 제도화 요구에 따라 청년정책을 총괄하는 청년기본법이 마련되었다. 청년기본법과 청년기본조례는 정책의 대상인 청년을 단순히 정책의 수혜자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정책 수립의 주체로 규정하고 있다. 청년이 정책 수립의 주체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정책의 수립과 집행에서 청년의 참여가 필수적이다. 청년의 참여는 청년이 정책에 대한 의사만을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정책의 수립과 집행에서 청년이 실질적으로 주도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서는 청년정책위원회의 구성에 있어서 참여하는 청년의 비중을 보다 강화하고 구체적으로 규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청년 중 여성이 참여하는 최소한의 규정을 마련하여 청년정책에 여성의 의견이 충분히 반영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정책수립에 참여한 청년의 의견이 무시되지 않고 청년의 의견과 정책간의 연계성을 보다 강화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 제시된 청년의 의견을 어떠한 과정을 통해 논의하고 이를 반영하지 않은 경우 그 이유를 공개하여 정책의 객관성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청년참여와 관련하여 지방의회의 기능을 보다 강화하여 지방의회 차원에서의 청년참여도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 청년 관련 기관들의 기능 중복을 해소하여 각각의 역할을 명확하게 하여 청년정책의 집행뿐만 아니라 청년참여를 유도하는 중간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고려될 필요가 있다. 또한 청년의 참여와 관련하여 청년인재정부의 효율적 관리와 청년정책과 관련한 정보의 실질적 활용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갈수록 심해지는 청년위기를 극복하는 것은 단순히 청년에게 시혜적인 정책을 마련하는 것이 아니라 이들이 정책의 수립과 집행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정책의 주체가 자리매김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청년 삶의 위기에 청년이 좌절하지 않고 청년이 앞으로 나갈 수 있도록 하는 청년정책이 마련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After the financial crisis, the long-term economic stagnation prevented young people from finding good employment and forced them into non-regular jobs. As a result, the lives of adolescents are getting worse and they are unable to properly enter society unlike in the past. The youth employment crisis has now expanded into a youth life crisis, and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have promoted diverse youth policies. Youth have continued to demand policy-making to overcome the crisis, and local governments have established the Youth Basic Ordinance. In response to the demand for institutionalization of youth policy, the Youth Framework Act was established to summarize youth policy. The Youth Framework Act and the Youth Basic Ordinance stipulate that the youth who are the subject of the policy are not merely the beneficiaries of the policy, but the subject of policy establishment. In order for adolescents to function as policy makers, youth participation in policy establishment and enforcement is essential. Youth participation means that youth do not just represent their willingness to policy, but that youth effectively take the lead in establishing and enforcing policy.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further strengthen and specifically specify the weight of young people who participate in the composition of the Youth Policy Committe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minimum provision for women to participate in youth so that the opinions of women are fully reflected in youth policies. In addition, the opinions of the youth who participated in the policy establishment should not be ignored, and the cooperation between the youth's opinions and the policies should be further strengthened.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youth's opinions presented for this purpose through what process, and if they do not reflect this, disclose the reasons and increase the objectivity of the policy. It is also necessary to strengthen the functions of local councils in relation to youth participation and expand youth participation at the local council level. It is also necessary to consider eliminating the duplication of functions of youth-related organizations, clarifying their roles, and enabling them to perform not only the enforcement of youth policies but also the intermediate functions that induce youth participation. In connection with youth participation, there will also be a substantial use of information on the efficient management of youth human resources governments and youth policies. Overcoming the increasingly fierce youth crisis is not just about setting a timely policy for youth, but for them to actively participate in policy development and enforcement so that they can be positioned as policy actors. is important. There will be a need for a foundation for youth policies to ensure that youth do not frustrate the crisis of youth 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