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2018년 7월부터 시행된 근로시간 단축이 근로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있다. 분석을 위해서는 이중차분법을 활용하였으며, 주 52시간제가 300인 이상 사업장을 대상으로 먼저 시행되었음을 고려하여 300인 이상의 규모의 사업장은 실험집단으로, 법 개정의 영향을 받지 않은 50∼299인 규모의 사업장은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여 이들 집단의 법개정 전후의 노동시장 효과를 분석하였다. 근로시간 단축이 근로자의 삶의 질에 끼친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국노동패널(KLIPS) 자료를 활용하여 법개정 전후 직무 만족도와 생활 만족도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직무만족도는 일자리 만족도, 임금 또는 보수 만족도, 근로시간 만족도를 종속변수로 하여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정책효과 추정치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반적인 생활만족도와 여가생활 만족도를 대리변수로 활용한 생활 만족도에 대한 변화를 파악하였으나, 마찬가지로 정책 효과의 추정값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법 시행 적용 대상이 아닌 비교집단에서 더 큰 폭으로 근로시간이 감소한 데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사실은 정부가 근로시간 단축 조기정착 지원금 등 다양한 지원책을 통해 근로시간 단축을 조기에 정착시키겠다는 정부의 의지와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보이는데, 분석기간 동안 법규의 대상이 아닌 50인 이상 300인 미만의 사업장에서도 사전적으로 근로시간 단축을 조기에 도입한 사례가 적지 않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회귀분석 결과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집단별 만족도 추이를 살펴보았는데, 평균효과 추이는 법 개정의 효과가 다소나마 긍정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the impact of working hours reduction on labor market performances. In order to find out whether the reduction in working hours affect workers’ satisfaction, this paper utilizes difference in differences model(DID) as a quasi-experimental method. Reduction in working hours in Labor Standards Act applied sequentially according to the size of firms. Since firms with 300 workers or more applied firstly in July 2018, we take these firms as treatment group and firms with 50 to 299 workers as control group. First, to confirm the effect of shortening working hours on the workers’quality of life, this study examined changes in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before and after the revision of the law, using the Korea Labor Panel (KLIPS). For job satisfaction,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job satisfaction, wage or remuneration satisfaction, and working hours satisfaction as dependent variables, and the policy effec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the change in life satisfaction was identified using overall life satisfaction and leisure life satisfaction as proxy variables, but as before, the estimated value of the policy effect was not found to be significant. This result is presumed to be due to a greater decrease in working hours in the comparative group that is not subject to law enforcement. This seems to be related to the government’s willingness to settle working hours early through various policy measures such as early settlement subsidies for shorter working hours, which have been introduced early in workplaces with 50 to 299 employees. Finally, to compensate for the limitations of th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is study examined the trend of satisfaction by group, and analysis results were confirmed that the effect of the revision of the law was posit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