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에서는 만주국군에 복무한 조선인들의 사회적 배경과 입대 동기를 분석한다. 만주국군 출신 조선인들의 역사적 의미, 특히 광복 직후 한국군의 창설과정과 1960년대 이후 개발독재에 미친 영향은 이미 선행연구를 통해 충분히 규명되었지만, ‘이들이 왜 만주국군에 입대하였는가?’라는근본적인 질문에는 답하지 못하였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조선인 자원입대의 결정적인 계기인 1938년 간도특설대의 창설 시기를 중심으로, 당시관변언론의 보도와 만주국군에 참가한 조선인들의 회고를 검토한다. 만주국군은 1932년 만주국의 수립과 함께 창설되었다. 창설 당시의 만주국군은 일본 관동군의 보조부대로서 국내 치안유지 임무를 주로 담당하였으나, 1937년 이후 소련과 일본 간 국경분쟁이 잦아지자 점차 관동군의대외작전까지 보조하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만주국군 내에서는대소전 발발 시 소련 영내로 침투할 외국인 부대들을 다수 조직하였고, 그과정에서 만주국군 복무의 의무가 없던 만주국 내 외국인들의 입대가 허용 혹은 장려되었다. 특히 간도 일대에 집중적으로 거주하던 조선인들은국적법 상 일본인으로 취급되면서도 식민통치의 강력한 규율 아래에 놓인자들로서 군사 동원의 가치가 높은 집단이었다. 1938년에 본격적으로 시작된 본격적인 모병과 입대 현상을 중심으로, 만주국군에 입대를 결정한 조선인들의 동기는 크게 ①관(官)의 모병선전, ②민족적 명분, ③생계와 출세 등 개인적 동기의 셋으로 구분할 수 있다. 식민당국의 의도를 직접 반영하던 􋺷만선일보􋺸 등은 비슷한 시기 조선 내에서 시행된 􋺷조선육군특별지원병령􋺸의 시행 논리를 답습하며, 차별을 받는 조선인들이 ‘황국신민’으로의 신분 상승을 위해 군국주의의 산실인 군대에 자발적으로 투신하도록 조장하였다. 한편 간도특설대에 자원입대한조선인들은 같은 민족의 거주지역인 간도의 치안을 지키는 한편 민족의우월성을 대표한다는 자긍심을 가졌다. 만주국군에 자원한 조선인들은 자신들의 복무 동기를 재만 조선인 사회가 낳은 민족정신의 발로(發露)로 치환하는 경향을 보이며, 이러한 서사는 친일부역행위의 대한 상투적인 변명이자 실제로 당시 지원자들이 경험하였을 ‘협력적 민족주의’의 심상이반영되어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social backgrounds and motives of Koreans who had volunteered to join the Manchukuo Imperial Army during colonization. Initially used as an auxiliary security force of the Japanese Kwantung Army, the Manchukuo Imperial Army was later involved in several border conflicts against the Soviet Union after 1937. In preparation for a possible war with the Soviet Union, the Manchukuo Imperial Army enlisted the help of foreign troops, including Koreans. Living primarily in the Jiandao region, the Koreans had already endured two decades of colonial rule and were thus seen as a valued and amenable source for troops. Koreans began volunteering for the Manchukuo Imperial Army in 1938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Kanto T'ŭksŏltae (Jiandao Special Forces). Their motivations were multivarious. Some likely responded to pro-Japanese presses that encouraged Koreans living in Manchukuo to join the Army, such as Mansŏn Ilbo (Manchuria-Joseon Daily). These papers often cited the Josŏn Yukkun Tŭkpyŏl Jiwŏnbyŏngryŏng (Korean Army Special Volunteers Act) of 1938 or enticed their audiences with chances of earning civil rights as “Koukoku Shinmin (imperial subjects of Japan).” For other volunteers, national pride in Manchukuo also weighed heavily on their decision. Their memoirs are saturated with expressions that evince a national spirit. Their volunteerism exceeds mere opportunism or notions of collaborative dispositions. It reflects a deep sense of national pr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