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기혼 남녀근로자의 개인(개인-직무 적합성, 승진욕구, 자신감) 및 상황(상사지원, 멘토지원, 비공식적 네트워크 활동, 직장-가족 간 전이) 요인이 주관적 경력성공의 지표로서 직무만족과 경력전망에미치는 효과와 이들에 대한 성별 조절 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제2차(2008) 여성관리자패널조사데이터를 사용하여 경력 3년차 이상인 기혼 남녀근로자 899명을 대상으로 주관적 경력성공에 영향을 미치는요인을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직무만족과 경력전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근로자의 성별에 따라 다른것으로 나타났다. 대체로 개인-직무 적합성, 승진욕구, 자신감 등과 같은 개인 특성 변수와 상사지원이라는상황특성 변수가 직무만족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 중 승진욕구가직무만족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은 여성보다는 남성근로자에서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장에서가정으로의 갈등 정도가 높을수록 직무만족이 낮아지는 경향은 남녀근로자 공통으로 확인되는 현상이었지만, 그 부정적 효과는 여성근로자의 경우에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전망과 관련해서는 개인-직무적합성이나 승진욕구와 같은 개인 특성 변수 및 가정에서 직장으로의 촉진적 요소가 남녀근로자의 경력전망에공통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가정에서 직장으로의 갈등이 경력전망에 미치는영향은 남성보다는 여성근로자에게 더 부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경력성공에 영향을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성별 조절 효과를 고려하지 않았을 때에는 여성이 남성보다 직무만족과 경력전망이낮은 것으로 나타나 주관적 경력 성공 지표에 있어 성차가 존재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성별 조절 효과를통제하면 이러한 단순 성차는 없어지거나(예, 직무만족) 오히려 역전되는 것(예, 경력전망)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경력 성공 정도를 비교하는 데 있어 단순히 남성과 여성 간의 성차를 가정할 것이 아니라 경력 성공에 미치는요인들이 남성과 여성에게서 어떻게 다르게 작용하는지를 면밀하게 분석해야 하는 이유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antecedents of subjective career success and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on their relationships. The study focuses on ‘2008 Korean Women Manger Panel (KWMP)’ data by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which includes comprehensive sample of 2,975 employees in total. Especiall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interaction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between man and women employees, data from married employees with tenure of 3 years or more were analyzed, which led to a total of 409 male and 490 female in the sample. First, the results revealed important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Negative effects of work-family conflict on subjective career success measured by job satisfaction and perceived career prospect were moderated by gender; the negative effects were more pronounced in women than men. More specifically, job satisfaction of female employees was negatively affected by work-to-family conflict more than male employees. Similarly, perceived career prospect of female employees was negatively affected by family- to-work conflict more than male employees. The results also demonstrated that positive effect of individual aspiration for promotion on job satisfaction was only pronounced in male but not in female employees. The study also indicated that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person-job fit, self-confidence, perceived support from supervisors had positive effects on subjective measures of career success even after situational variables or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were controlled. Implications for human resource and career management for women employees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