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목적 본 연구는 대학교수의 교수역량을 유형별로 범주화하고, 교수자 특성(연령, 교육경력, 직책)에 따른 유형별 특성을 분석하였다. 방법 편의표집된 수도권 A대학의 교수인 125명을 대상으로 교수역량의 수준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변량분산분석(Mulivariate analysis of varianc)을 실시하였다. 이후 교수역량의 유형화 분석을 위해 주어진 군집 수에서 군집 내 거리제곱합의 합을 최소화하여 k개의 군집으로 도출하는 K-평균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수역량 군집별 특성분석하기 위해 일원분산분석(Analysis of variance)과 Scheffé 검증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를 활용하여 유의수준 .05에서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다변량분산분석을 통해 교수역량을 진단한 결과, 교수역량 중 테크놀로지 활용을 제외한 모든 변수들의 평균 4점대로나타나 전반적으로 높은 평균값을 보였다. 교수 전체를 대상으로 집단 특성(연령, 교육경력, 직책)을 분석한 결과, 연령과 교육경력에 따른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며, 직책에서 학습상담만이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 Scheffé 검증을 통해 집단 간 차이를 검증한 결과, 조교수, 부교수, 교수가 외래교원보다 학습상담이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K-평균 군집분석을 통해 교수역량을 4유형으로 유형화하였으며, 각 군집의 특성을 고려하여 ‘실천가’, ‘잠재적 실천가’, ‘불확실한 실천가’, ‘비활동적 실천가’로 명명하였다. 셋째,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여 교수역량 유형에 따른 교수자 특성(연령, 교육경력, 직책)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연령과 교육경력에 따른 교수역량의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며, 직책에서 교수역량 중 학생상담만이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 Scheffé 검증을 통해, 집단 간 차이를 검증한 결과, 조교수, 부교수, 교수가 외래교원보다 학습상담 역량이 유의하게 높았다. 한편. 직책에 따른 전반적인 교수역량의 추이에서부교수가 조교수, 교수, 외래교원에 비해 모든 역량에서 높은 수준을 보였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수역량 유형에 따른 집단에 대한 생애주기별 교육과정 운영전략 및 지원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특히, 교육경력별로 교수역량이 다르게 나타남에 따라, 연차에 따라 효과적인 전문성을 함양할 수 있도록 경력 초기인 조교수 때부터체계적인 지원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professor competencies of university professors an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age, education career and position. Methods First, MANOVA was analyzed to determine the level of teaching competency among 125 professors from A University in the metropolitan area. Secoend, K-means cluster analysis was performed to derive k clusters by minimizing the sum of the squares within the given number of clusters. Finally,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eaching competency cluster, ANOVA and Scheffé test were perform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t a significance level of .05 using SPSS. Results First, the overall average of teaching competency was 4 points except for technology utiliza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age and teaching career, and only learning counseling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osition. Assistant professors, associate professors, and professors had significantly higher learning counseling than adjunct professors. Second, Four types were identified: practitioners, potential practitioners, uncertain practitioners, and inactive practitioners. Third, Analyzing instructor characteristics (age, education career, position) by one-way ANOVA,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fessor competencies according to age and education career. However, in terms of overall professor competencies by position, associate professors showed higher levels in all competencies than assistant professors, professors, and adjunct professors.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ed life cycle curriculum management strategies and support plans for groups according to professor competency types. Specially, as professor competencies differs according to education career, it is needed to cultivate effective professionalism from the early days of assistant profess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