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정묘호란(1627) 당시 전개된 조선과 후금의 전투 및 교섭을 국면별로 검토함으로써 조‧청관계의 전신이었던 조‧금관계의 성격을 고찰하고자 한 것이다. 정묘호란은 조선이 후금과의 國交를 공식화 한 계기였고, 청과의 관계로 이행하는 한 단계이기도 했다. 정묘호란은 크게 세 단계로 전개되었다. 후금군이 청천강 이북 지역을 점령하고 조선과의 화친을 추진한 단계, 후금군이 청천강 이남으로 진격하여 조선과의 화친을 성사시킨 단계, 후금군의 완전 철병이 이루어지기까지 청천강 이북 지역에서 벌어진 항전 단계가 그것이다. 첫 번째 단계에서 조선은 후금의 국서 발송 요구를 수용하였지만 명의 天啓 연호를 사용함으로써 화친이 무산되었고, 두 번째 단계에서는 연호를 쓰지 않은 국서를 통해 양국이 타협점을 찾고 盟約을 설행하게 되었다. 세 번째 단계는 화친의 성사 이후 후금군이 완전히 철수하게 되기까지의 과정인데, 점령지였던 청천강 이북에서 거센 항전이 일어나 화친이 위기에 봉착한 시기이다. 하지만 세 번째 단계에서 조선과 후금 양국은 청북 지역에서의 전투를 무시한 채 화친을 진행했고, 곳곳의 산성에 의거하여 항쟁하던 의병진들이 자발적으로 해산하면서 전쟁이 마무리되었다. 정묘호란의 국면들을 단계적으로 분석해보면, 그것이 침입과 화친이라는 단순한 구도가 아니라 양측 모두의 타협적 성격이 드러나며 이는 이후의 조‧금관계는 물론 조‧청관계의 흐름과도 무관하지 않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Chosŏn-Later Jin relations, as the predecessor of Chosŏn-Qing relations, by examining each phase of combats and negotiations during the First Manchu Invasion in 1627. The First Manchu Invasion was a momentum where Chosŏn formalized its interstate relations with the Later Jin, and these relations evolved into that with the Qing dynasty. The First Manchu Invasion can be divided into three phases. The first phase, where the Later Jin Army occupied north of Ch’ŏngch’ŏn River region and sought the truce. the second phrase, where the Later Jin Army advanced southward and achieved the truce. and the third phrase, where the resistance persisted until the Later Jin Army fully withdrew from the Chosŏn territory. In the first phrase, Chosŏn accepted the demand of Later Jin to send the Royal Letter, but the truce was failed as the Ming Era Name Tianqi was used. In the second phrase, the two countries found a point of compromise by exchanging the Royal Letters without Era Name, leading to the pledge for the truce. In the third phrase, the truce was endangered as the strong resistance persisted in the north of Ch’ŏngch’ŏn River region, where the Later Jin Army was stationed. However, it was at this phase that the Invasion ended as both countries continued to process the truce, ignoring combats in the northern regions, and as the righteous armies in the fortresses were dismissed voluntarily. By analyzing these phases, it can be shown that the First Manchu Invasion was not a simple invasion-truce moment, but had a characteristic of compromise from both sides, which was continued in the Chosŏn-Later Jin relations and the Chosŏn-Qing relations hereaf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