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개편된 한국어능력시험II은 이전에 비해 수험자의 쓰기 능력을 직접적 으로 평가하고자 변화해왔지만 좀더 깊이 들어가 문항이 가지고 있는 특 징을반영한평가기준설정에대한연구로이루어지지않았다. 본연구 에서는 한국어능력시험II 쓰기영역 53번의 ‘시각자료 설명하기’ 문항유형 이 54번 ‘작문하기’와 거의 같은 평가 기준으로 설정되어 있다는 것이 적절 하지 않다고 보고 문항의 특징을 반영한 평가 기준 설정 방향 제시에 목 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2장에서는 쓰기영역을 이루는 51-54번 문항의 특징을 ‘문항유형, 출제의도, 주어진 글·자료, 답안분량’ 기준으로 비교해 보았다. 53번 문항은 그래프와 그래픽 조직자라는 비언어화된 시각자료 를 글로 표현하는 과정이 이루어지므로 수험자가 53번 문항을 다룰 때에 는 시각자료를 해석하는 과정이 진행된다. 이 과정은 수험자의 인지적인 측면과 관련된 요소이며, ‘시각자료 이해하기’ 단계와 ‘시각자료를 내용 조직’ 단계를 거치게 된다. 3장에서는 53번 ‘시각자료 설명하기’ 문항의 평 가 기준이 시각자료를 해석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능력을 반영한 평가 기준인가를 살펴보았는데 53번 문항은 문항의 특징이 고려되지 않은 평 가 기준이라고 나타났다. 4장에서는 53번 문항을 다룰 때 비언어화된 형 태의 시각자료 내용을 언어화시켜 작성하는 부분이 중요하다고 보고, ‘시 각자료 이해하기’ 단계에서 작용하는 요소들이 ‘내용 및 과제 수행’의 평 가 기준으로 반영되어 답안을 측정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제안하였다. 평 가 기준으로 설정할 수 있는 두 가지 요소로 첫 번째로는 시각자료의 내 용을 정확하게 기술하였는가를 제시하여 시각자료가 의미하는 내용을 정 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언급하였다. 두 번째로는 시각자 료의 핵심 내용을 선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고 답안이 시각자료의 중 요한 내용이 포함하고 있는지를 평가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The revised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II (TOPIK) aims to provide more direct evaluation of the examinees. However, it was found not to fully take into account the evaluation criteria that reflect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questions. Based on the belief that the evaluation criteria applied to Question 53 ‘Explain a visual material’ in the writing section of TOPIK II was almost identical to that of Question 54 ‘Composition’ and that such similarity between the two questions is inappropriate, this study aimed to set a direction for establishing evaluation criteria by taking into account characteristics of the question. For the study, in Chapter 2, characteristics of Question 51 to Question 54, which comprise the writing section, were compared in terms of ‘question type, intent, given text and material, and response length.’ Question 53 involves a process in which the examinees interpret a graph and graphic organizer, which are visual materials, and explain them in writing. In the process, the steps ‘understanding visual materials’ and ‘organizing visual materials into contents,’ which are related to cognitive ability of the examinee. Chapter 3 examined whether the evaluation criteria of Question 53 ‘Explain a visual material’ reflect the skills used for interpreting visual materials. The result showed that Question 53 did not take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question. In Chapter 4, based on importance of verbalizing non-verbalized visual materials in writing the response to Question 53, it was proposed that elements related to the step ‘Understanding visual materials’ be reflected in evaluation criteria of ‘content and task performance.’ As elements that can be included as evaluation criteria, the study proposed, first, accuracy in description of the visual material, because it is important to correctly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visual materials; and, second, inclusion of important information from the visual materials, because it is important to figure out the core information of the visual materi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