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강위는 동아시아 삼국이 내우외환으로 큰 혼란을 겪던 격동의 19세기를 불꽃처럼 살다간 선각적 지식인이자 당대 조선을 대표하는 詩人이었다. 그는 한미한 무반 가계 출신이라는 신분적 한계로 인해 종신토록 자신의 포부와 역량을 충분히 펼 수 있는 지위를 얻을 수 없었다. 하지만 뛰어난 식견으로 문호 개방을 전후한 시기 위정자들이 정책 결정을 하는 데 큰 영향을 끼쳤고, 한문학에서도 한말 사대가로 불릴 정도로 큰 족적을 남겼다. 본 논문에서는 1880년대에 강위가 감행한 두 차례의 일본 여행과 연이은 중국 상해 여행을 중심으로 그의 만년의 삶을 다루었다. 강위는 환갑이 되던 1880년 제2차 수신사 김홍집을 수행하여 첫 번째 일본 여행을 했고, 2년 후인 1882년 초 김옥균과 함께 두 번째 일본 여행에 나섰다. 제2차 수신사행에서 일행에게는 조일 양국의 외교적 현안의 해결과 이홍장이 보낸 밀함과 관련한 일본의 동정 파악과 개화 문물의 시찰이라는 명확한 소임이 있었다. 이 때문에 수신사 일행의 움직임은 외교 현안 해결에 집중되었고, 개화문물 시찰이나 일본 측 인사들과의 교유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다. 반면 일본의 국정 탐색과 함께 국채 모집의 의도도 있었던 것으로 보이는 1882년의 일본 여행에서는 상대적으로 기간과 세부 일정 등에서 여유가 있었다. 덕분에 메이지 일본이 추진하고 있는 근대화의 실상을 자세히 살피고 다양한 인사들과 교유할 수 있었다. 조선 정부는 제2차 수신사행이 귀국 때 『조선책략』을 가져오자, 이를 계기로 강화도조약 체결 이후 별다른 진척이 없었던 개화정책 추진을 가속화하였고, 청국 정부에도 영선사를 파견하여 미국과의 수교를 주선해줄 것을 요청하여 조미조약을 조인하였다. 하지만 『조선책략』의 반입으로 국내에는 거센 반개화 운동이 촉발되었는데, 강위는 유생들의 반대 논리를 반박하는 두 편의 글을 지어 개화정책 추진의 정당성을 옹호하였다. 이는 조선 정부의 대미수교․개화정책 추진의 논리와 명분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두 차례의 일본 여행을 통해서 강위는 일본의 근대화 추진 실태와 함께 흥아회가 주창하는 ‘아시아 연대론’에도 깊은 관심을 보였다. 귀국하던 중 임오군란 소식을 듣고 어윤중과 사태 수습을 논의하기 위해 天津 방문을 계획했던 강위는 이후 양무운동의 산실인 상해의 근대문물을 살펴보고 귀국하는 쪽으로 방향을 선회하였다. 이미 두 차례의 여행을 통해 일본의 근대화 추진 실태를 살펴보았으니 청국에서 추진하고 있는 양무운동의 성과도 직접 눈으로 보고 싶었던 것이다. 강위가 청일 양국의 근대화 정책 추진의 실태를 두루 살피고 귀국한 것은 1882년 11월의 일이다. 귀국 후 그가 어떤 활동을 했는지는 명확히 확인되지 않아 아쉬움이 크다. 이는 고령의 나이에 무리한 외유를 했던 후유증 때문이기도 있지만, 김옥균 등 개화당 인사들과 친밀했던 그의 이력으로 인해 갑신정변 실패 이후 기록의 대부분이 인멸되었기 때문이다.


Gang Wi is a visionary intellectual and iconic poet of his time who lived like a flame in swirling turbulence of the 19th century when the three East Asian countries were stuck in great confusion due to troubles at home and abroad. His relatively lowly social status from a military noble family prevented him from obtaining a position and opportunity to be able to exercise his aspirations and capabilities for life. However, his outstanding knowledge and deep insight made a great impact on politicians in making their policy decisions around the time of the opening the national door to foreign countries and left a distinct mark in Sino-Korean literature as one of the four masters. This paper focuses on the late years of his life when he took two trips to Japan, followed by to Shanghai, China. Gang Wi took the first trip to Japan in 1880 when he turned 60 years of age to accompany Kim Hong-jip, the second envoy to Japan(第2次 修信使), and made another trip two years later in early 1882 together with Kim Ok-gyun. The second envoy team had clear duties of resolving pending diplomatic issues between the two countries, identifying what Japan was up to with regards to the documents sent by Li Hung-chang and inspecting the civilized culture of Japan at the time. Accordingly, the envoy team focused on resolving pending diplomatic issues with limited resources assigned to inspecting the civilized culture and the exchanging friendship with Japanese officials. On the other hand, his second trip to Japan in 1882, which appeared to be intended to understand the Japan’s state affairs and to raise funds with government bonds, allowed more leeway for the envoy to set the schedule and itinerary. For this reason, they were able to make a closer inspection of ongoing Meiji Restoration and modernization sought by Japan and to meet with various figures. The second envoy team brought the Strategy for Korea(『朝鮮策略』) on its way back from Japan and the Joseon Dynasty accelerated its policy of progressive movement, which had made little progress since signing the Ganghwado Treaty, sent another envoy to the Qing Empire to ask for an arrangement for a treaty with US and eventually signed the Joseon–United States Treaty in 1882. However, the introduction of the Strategy for Korea triggered a strong anti-progressive movement in Korea while Gang Wi defended the legitimacy of implementing the progressive policy by writing two articles refuting the anti-progressive movement among Confucian scholars, which has a significant implication in that it provided the reason and justification for the Joseon government to push ahead with making a diplomatic relationship with the United States and promoting its progressive policies. The two trips to Japan allowed Gang Wi to develop keen interest in Japan’s modernization move and the Theory of Asian Solidarity(亞細亞連帶論) sought by Heungaheu(興亞會). Hearing the the Im-O Military Revolt(壬午軍亂) on his way back home, Gang Wi decided to inspect the modernization of Shanghai, the cradle of the Chinese Westernized Reform(洋務運動) before returning home, after discarding his original plan to visit Tianjin to discuss how to respond to the situation with Eo Yun-jung. He wanted to witness the achievements of the Chinese Westernized Reform led by the Qing Dynasty after examining the Japan’s modernization status through two previous trips. It was in November 1882 that Gang Wi returned home after inspecting the ongoing modernization of the two countries. It is a pity that we are not able to gain a clear understanding of what activities he engaged in after returning home due partly to the aftereffects of his overstretched overseas trips at a late age and partly to the destruction of most of the relevant records following the failure of the Gapsin Coup orchestrated by the Enlightment Party due to his close relationship with the party’s key figures, including Kim Ok-gy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