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코로나 19가 전지구적으로 유행을 시작하고 벌써 3년째에 접어들었다. 팬데믹 속에서 사람들은 기존과는 다른 차원에서 지구적인 가치, 삶의 방식을 고민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고민이 좀 더 희망적으로 전개되기 위해서는 팬데믹 상황에서 겪은 사회·문화적 충격(상처)에 대한 적절한 치유의 과정이 필요하다. 아우슈비츠 수용소에서 살아남은 빅터 프랭클은 ‘삶은 나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가?’라는 물음을 ‘나는 삶에 어떤 의미가 있는가?’로 전환한다. 1980년 5월에 광주에서는 ‘광주민주화운동’이 전개되었다. 우리는 오랫동안 ‘5·18은 우리의 삶에 어떤 의미가 있는가?’라는 물음의 답을 구했다. 빅터 프랭클을 따라 이 물음을 ‘우리의 삶은 5·18에 어떤 의미가 있는가?’로 전환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물음의 전환은 기존과는 다른 의미의 담을 구할 수 있게 해 준다. 이 논문에서는 1980년대를 대표하는 시전문 무크지인 『민중시』에 실려 있는 작품 중에서 5·18을 주제로 한 시편을 분석하고, 빅터 프랭클이 주창한 ‘로고테라피’의 개념과 지향을 통해 해석했다. 로고테라피(의미치유)에서 주목하는 요소는 ‘태도, 의지, 실존’이다. 태도는 주체가 유일무이성을 추구할 때 가치가 높아진다. 주체는 대상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본래적 시간을 발현한다. 주체와 객체가 맺는 다채로운 관계는 유일무이성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킨다. 문익환의 「왜 여태 몰랐을까」, 조진태의 「동지1」을 분석했다. 의지는 자신의 태도를 결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삼아 새롭게 자신을 초월하는 정신인 힘을 가리킨다. 김규동의 「마지막 날」, 이학영의 「단식2」를 분석했다. 고통과 죽음을 선취함으로써 특별한 의지의 존재로 거듭하는 시적 화자를 만날 수 있다. 실존은 의미를 초월하는 장소성을 구성한다. 실존의 장소, 장소의 실존은 특별한 사랑으로 채워짐으로써 새로운 생명을 잉태하고 길러낼 수 있다. 김준태의 「금남로의 사랑」, 이선옥의 「광주천」을 이러한 시각으로 읽었다. 이를 통해 80년 5월에 형성된 광주의 장소성을 비극적 차원에서 실존적 차원으로 전환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했다. 지금까지 정신(마음)을 치유하는 것은 주로 개인에게 맡겨졌다. 빅터 프랭클의 로고테라피는 여기에 그치지 않고, 마음의 치유 주체를 공동체로 확장한다. 현대인의 삶은 사회·문화적으로 복잡한 관계 속에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과정에서 겪게 되는 마음의 상처를 치유하는 것을 개인에게만 맡기는 것은 효율적이지 않다. 사회·문화적 차원에서 로고테라피가 이루어짐으로써 개인들이 좀 더 안정적인 차원에서 삶의 의미를 모색할 수 있게 되기를 바란다.


It has already been three years since the COVID-19 outbreak began to spread globally. In the midst of the pandemic, people began to think about global values ​​and ways of life in a different dimension than before. In order for these concerns to develop more hopefully, an appropriate healing process is needed for the social and cultural shock (wound) experienced in the pandemic situation. Victor Frankl, who survived the Auschwitz concentration camp, turns the question 'What does life mean to me?' to 'What meaning does life have to me?' In May 1980, the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was launched in Gwangju. For a long time, we have been looking for an answer to the question, 'What is the meaning of May 18th in our lives?' Following Victor Frankl, this question can be converted into 'What is the meaning of our lives on May 18th?' The transformation of the question allows us to find a wall with a different meaning than the existing ones. In this thesis, the psalms with the theme of May 18th were analyzed as the subject of analysis among the works published in 'Minjung Poems', a representative poetry magazine of the 1980s. It was interpreted through the concept and direction of ‘logotherapy’ advocated by Victor Frankl. The elements to pay attention to in logo therapy (meaningful healing) are ‘attitude, will, and existence’. The attitude is valued when the subject pursues uniqueness. The subject expresses the original time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object. The colorful relationship between subject and object dramatically increases uniqueness. We analyzed Moon Ik-hwan's "Why Didn't I Know It Yet" and Cho Jin-tae's "Comrade 1". The will refers to the power that determines one's attitude and, based on this, is the spirit that transcends itself anew. Kim Gyu-dong's "The Last Day" and Lee Hak-young's "Single 2" were analyzed. By preempting pain and death, we can meet the poetic narrator who repeats itself as a being of a special will. Existence constitutes a sense of place that transcends meaning. The place of existence, the existence of a place can conceive and nurture a new life by being filled with special love. I read Kim Jun-tae's "Love in Geumnam-ro" and Lee Seon-ok's "Gwangjucheon" from this perspective. Through this, it was intended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transform the spatiality of Gwangju, which was formed in May 1980, from a tragic dimension to an existential dimension. Up to now, healing of the mind (mind) has been largely entrusted to the individual. Victor Frankl's logotepapi does not stop there, and expands the healing agent of the mind to the community. The modern life takes place in a complex social and cultural relationship. It is not efficient to leave it alone to the individual to heal the wounds experienced in this process. It is hoped that logotherapy will be carried out at the social and cultural level so that individuals can find the meaning of life on a more stable lev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