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국어 교과서 개발에서 소통을 강화해야 한다는 관점에서 쓰여 졌다. 국어과 교육은 학생들의 의미구성능력과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국어 능력의 신장을 지향한다. 그동안 국어과 교육은 이 두 가지 능력을 함께 강조하는 방향에서 이루어지지 못하고, 의미구성만을 강조했다. 국어과 교육이 의사소통을 지향하지 않은 것은 아니지만 이를 효과적으로 지도하지 못했던 것이다. 이 논의에서는 의사소통 교육의 실제를 강화해야 한다는 점에서 교과서의 구성 문제를 다루었다. 교과서 구성에서 의사소통이 강화되면 수업에서 소통교육이 강화될 것이라고 보았기 때문이다. 의사소통 교육을 강화하기 위한 접근으로 국어과 교육에서의 소통이 갖는 의의를 살피고, 교과서 개발 방향을 탐색하였다. 교과서 개발 방향으로는 한 단원에서 한 차시는 소통을 위한 차시로 배정할 것을 주장하였다. 소통이 강화된 교과서 개발을 위해서는 소통을 전제한 학생들의 상호작용과 관념 재구성을 강조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구체적인 주제와 소통 상황 제시를 하여 소통 방법을 익히고 태도를 갖출 수 있도록 해야 한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direction of making Korean language school-book for reinforced communicatio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pursues the extension of student's Korean language ability . The korean language ability is composed of capability of meaning making and communication. The while, th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emphasized student's capability of meaning making in instruction. So, the student's capability of communication is weakened. In this paper, I discussed how to do stress communication in the Korean language school-book for to reinforce communication. For making the Korean language textbook to pointed up communication apportions a part to activity of it. It's the part should be contained principles of communication, which are reciprocal action for exchange the dialogue partner's idea and reconstruction for sublimating the id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