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신라승 의적은 의상(625-702)의 10대 제자 중 한 사람이다. 7세기 말과8세기 초에 활동한 그는 당에 유학한 학승이며 『법화경』, 『반야경』, 『열반경』 및 정토계 경전과 유식계의 논서에 해박하여 20여 종을 저술한것으로 알려졌다. 그 가운데 『무량수경술의기』는 일본의 에타니 류카이가 복원하였고 비로소 이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었다. 한국에서도 이책에 대한 서지적 혹은 역사적 측면에서 연구를 시작하였으며, 본 논문역시 의적의 정토사상에 대한 연구를 시도하였다. 이 논문에서 의적의 정토교 사상에 대하여 세 가지의 특징을 밝히고자하였다. 첫째, 원에 대한 의적의 설명은 구생과 회향이다. 발원을 대승보살 수행의 입장에서 분석하였다. 그 원은 아미타불의 본원이다. 이 본원은법장비구 즉 보살의 단계에서 세웠다. 또 그 원을 세우는 작원의 삼심이란 중생을 제도하겠다는 회향발원심 그리고 위로 깨달음을 구하는 지성심과 심심이다. 둘째, 신심에 대하여 의적은 대승보살의 활동 기반이라고 하였다. 신성취발심을 비롯하여 해행발심과 증발심의 삼심을 강조하였다. 특히 신성취를 위한 또 다른 세 가지의 마음을 닦는 동시에 네 가지 방편을행해야 한다고 하였다. 신심이란 상중하의 근기인 십신의 단계뿐만 아니라 그 이상의 계위에서도 반드시 갖춰야 함을 지적하고 있다. 셋째, 念에 대한 의적의 설명은 수행이다. 십념에 대한 의적의 특징은‘나무아미타불’ 육자일념이며 그것이 이어지는 연성염불을 가리킨다. 그 염불이 비록 하하품을 위한 이행도라 할지라도 보살의 입장에서 분석하는 입장이다. 전념에 의해 사마타와 비파사나로 이어지는 수증론은 세친과 담란 등으로부터 이어졌다. 의적은 그 영향을 받았다. 연종(정토종)은 극락왕생과 행도와 방편에 국한한다는 점에서 종파의성격이 약하지만 훗날 천태종과 융합한 사례가 나타났다. 고려 초기에서 중국에 유학했던 의통은 천태정토교를 창시하여 융합을 논리적으로완성하였다. 이는 한국과 중국 그리고 일본에 끼친 영향이 매우 크다.


Uijuk(義寂), a Korean Silla monk, was active in the late 7th and early 8th centuries. He is one of the ten disciples of Buddhist monk Uisang (義湘, 625-702) and is a scholar who studied abroad in Tang Dynasty, China. He left many writings because he spent a lot of time in Saddharmapuṇḍarīka sūtra, Parinirvāna-sūtra, prajñāpāramitā, and Panmanggyeong. He also left several writings related to The Pureland doctrine. Among them, Muryangsugyung-suluigi(無量壽經述義記, Account for Sukhāvatī-vyūha) was restored by Etani Ryukai of Japan, and research on this began. In Korea, research on this book has also begun bibliographically and historically. I also tried to study the Pureland doctrine of Uijuk in earnest. In this paper, I identified three characteristics of Uijuk's Pureland idea. First, Uijuk's description of Praṇidhāna is Reborn in the PureLand and Ggive back. He analyzed Praṇidhāna from the standpoint of practicing the Mahayana Bodhisattva. That Praṇidhāna is the thing of Amitabha Buddha. The Praṇidhāna was established at the stage of the Fazang Bodhisattva. Three things are needed to implement this. They are Give back-mind, Sincere-mind, and Deep-mind. Second, for śraddhā(信), Uijuk was said to be the basis of the activities of the Mahayana Bodhisattva. He emphasized three things, Jiexingfa-mind (至誠心) and Zengfa-mind(增發心), including Xinchengjiufa-mind(信成就發 心). In particular, he said that three other Minds must be practiced to achieve śraddhā. At the same time, he said he had to practice four other Upāya's. He pointed out that śraddhā must be equipped not only at the stage of Ten-śraddhā training but also at the stage above. Third, Uijuk's explanation of Smṛti is practice. Uijuk referred to One-smṛti as Six-letters. In other words, when the six letters “nan·wu·a·mi·tuo·fo” are thinks once, it is One-smṛti. If the One-smṛti persists, it becomes continuous-smṛti(連聲念佛). Pureland secter has a weak sectarian character in that it is mainly limited to faith, ‘Reborn into the Pureland(往生)’ and ‘Worship(禮拜)’ and ‘Upāya(方便)’. However, later, there was a case in which Tientai Order and Pureland secter were harmonized. In the early Goryeo Dynasty, Uitong(義通, 927-988), who studied in China, founded TientaiPureland Order, and that is the harmony of the two sects. He logically completed the harmony of practice and faith. This had a great influence on East Asian Buddhism such as Korea, China, and Jap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