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질적연구방법으로써 콜라주(collage) 기법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을 주된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예비유아교사들이 유아와 교사에 대해 떠올린 이미지를 콜라주 기법으로 표현한 작품 총 66개(교사에 대한 콜라주 33개, 유아에 대한 콜라주 33개)를 수집․분석하였다. 수집한 콜라주는 크게 ‘표현내용’과 ‘표현방식’ 두 가지 측면에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콜라주 표현내용’과 관련하여 예비유아교사들이 유아와 교사에 대해 표현한 콜라주에는 공통적으로 인물, 물건, 기타혼합물, 자연풍경, 식물, 동물, 탈 것의 순으로 이미지들이많이 등장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콜라주 표현방식’과 관련하여 예비유아교사들은 유아와교사에 대한 이미지를 콜라주로 표현할 때 ‘조각을 열거(경험과 기억의 조각들, 메타포의 조각들)’하거나 ‘조각을 분할하고 재구성(모호하게 편집된 조각들, 선명하게 창조된 조각들)’하는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개인의 무의식적인 심상을 다루는 이미지와 관련하여 콜라주 표현 방법을 질적 연구 안에서 활용 가능함에 대해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the collage a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 total of 66 works(33 collages each about teachers and infants) were collected in which pre-service teachers’ images of children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expressed. The data were analyzed from two perspectives: “What is expressed in the image(details of expression)” and “How the image is expressed(expression metho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 relation to “What is expressed in the image, “collages created by pre-service teachers included images of people, objects, other mixtures, natural scenery, plants, animals, and vehicles. Second, in relation to “How the image is expressed” two aspects appeared in the collages: “enumerate the pieces(pieces of experience and memory, pieces of metaphor)” and “Segment and reconstruct pieces(vaguely edited pieces, clearly created pieces).” Thus, collage expression method can be used in qualitative research in relation to images dealing with individuals’ unconscious mem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