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최일수는 ‘현실의 문학’에 대한 관심이 깊어갈 때쯤, 민족문학론이라는 시대적 과제에 천착하며 자신의 문학적 입지를 다져나간 비평가이다. 비판뿐 아니라 대안에 대해서도 나름의 모색을 보여준 최일수는 한국문단 내부에만 머물지 않고 바깥으로도 눈을 돌리며 한국문학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 나섰다. 이 논문에서는, 최일수를 전후 문단의 맥락 속에서 복원하고 재평가한 선행 연구를 발판 삼아 최일수 비평의 내적 논리를 규명하고 의미화하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최일수는 전후 세대 문인들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순수문학론의 휴머니즘과 실존주의적 휴머니즘 모두를 비판하면서 ‘현실의 문학’이라는 지향점을 제시한다. 초창기부터 후기 비평에 이르기까지 ‘민족의식’의 문제를 거론했던 만큼 1950년대 최일수 비평의 초점은 전후문학의 과제를 현실의 문제, 나아가 민족의 ‘주체성’과 연결 짓는 데 모아져 있었다. 주체성과 더불어 최일수가 강조한 것은 ‘현대성’이다. 최일수는 주체성과 현대성을 실천한 평민문학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민중’을 준거 집단으로 호명한다. 민중에 대한 논의가 더 깊어지지 못한 점은 아쉬움을 남기지만, 평민문학에서 ‘진짜 전통’의 계보를 찾았다는 점에서 최일수의 관점은 다른 전통론자들의 것과 변별된다. 최일수는 제3세계 문학인 동남아 문학에 발 빠르게 각별한 관심을 보이며 탈경계와 탈식민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1950년대 비평 담론의 지형 속에서 형성되었던 최일수의 문제의식은 1960년대로 넘어가면서 보다 첨예해진다. 최일수가 구상했던 실천의 방향은 문학주의의 장벽 안에 갇히지 않았고, 시극운동 실험으로 이어진다. 문학 제도와 ‘텅 빈’ 패배주의를 비판하며 최일수는 분단문학과 민중문학이 나아가야 할 길을 모색한다. 분단 허물기와 민주화를 문학이라는 큰 자장 안에서 종합하고자 했던 그의 시도는 탈경계를 향한 기획이자 운동이었다. 바로 이 지점에서 최일수 문학 비평의 현대성을 발견할 수 있다.


As the interest in “literature of reality” deepened, Choi, Il-Soo, a critic, strengthened his literary position by adhering to the genre of national literature theory. Choi, who conducted his own search for alternatives as well as criticism, turned his attention to the outside, not just within the Korean literary circle, and suggested the direction Korean literature should take. This paper, restores and reevaluates Choi in the context of the postwar paragraph, beginning with the consciousness to clarify and seek meaning in the internal logic of his criticisms. Choi maintains a certain distance from writers of the postwar generation and criticizes both humanism and existentialism of pure literature, thus suggesting the direction of “literature of reality”. As the issue of “national consciousness” was discussed from the beginning to the late criticisms, Choi's criticism in the 1950s focused on linking postwar literature with the real problem and even “subjectivity” of the nation. In addition to independence, Choi emphasized on ‘modernity’. He positively evaluates that common people’s literature practiced subjectivity and modernity, and calls the ‘people’ a reference group. It is regrettable that there is no deep discussion regarding the people, but Choi's view stands distinguished from that of other traditionalists, in the sense that he found the genealogy of “real tradition” in commoner literature. Choi shows quick and special attention to Southeast Asian literature, a third-world literature, and seeks the possibility of trans-demarcation and trans-colonization. Choi’s problem consciousness, which was formed in the topography of critical discourse in the 1950s, becomes more acute as he moves on to the 1960s. The direction of practice he envisioned is not trapped within the barriers of literary isms, leading to an experiment in the poetic drama movement. Criticizing the literary system and “empty” defeatism, Choi seeks a path for division of literature and popular literature. His attempt to synthesize trans-division and democratization in literature was a plan and movement towards trans-demarcation. At this point, the modernity of Choi Il-soo's literary criticism can be fou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