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스피박의 서발터니티 논의를 바탕으로 김언희 시가 상징 질서에 저항하는 서발턴의 발화임을 규명하였다. 식민자본주의와 남근중심주의로 인하여 이중적 소외를 겪는 한국 여성은 서발턴의 대표적 예이다. 김언희 시의 특징인 섹슈얼리티와 그로테스크의 결합은 서발턴의 새로운 발화 방식이자 저항성의 기반으로 작동한다. 김언희는 훼손된 여성 신체를 통해 육식 문화와 가부장제, 식민자본주의의 긴밀한 공모가 여성을 소외하는 현실을 고발하며, 이분법적 구조를 생산하는 제국주의의 근간으로 작동하는 기독교 담론을 비판한다. 이처럼 훼손된 여성 신체 이미지와 그로테스크, 섹슈얼리티의 결합은 ‘말하는-죽음’의 형태로서 서발턴의 재현으로 작동한다. ‘말하는-죽음’은 서발턴의 ‘있음’을 제시함으로써 타자성과 대면토록 하며, 독자로 하여금 정동을 불러일으키는 재현representation의 일환이자 행위 능력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다른 한편 시적 주체의 죽음 충동은 현재의 삶에 대한 집중을 풂으로써 새로운 삶에 대한 집중을 가능케 하며, 성차 비틀기를 통해 ‘하느님 아버지’의 상징 체계에 저항함으로써 서발턴을 둘러싼 다양한 체계들의 코드화를 벗어나는 재현re-presentation을 구성한다. ‘말할 수 없는’ 서발턴에 있어 사고를 재구조화하고 자기재현을 고정하는 글쓰기는 주요한 능력이다. 김언희 시의 시적 주체는 상징 체계에 수납된 주체로서 상징 체계를 위협하는 아브젝시옹으로서의 ‘여성-괴물’인 “어머니”에 공포를 느끼나, 점차 ‘여성-괴물’로서의 정체성을 자각하고 신격을 지닌 ‘여성-괴물-되기’를 수행함으로써 서발턴으로서의 주체-위치에서 벗어나 새로운 주체-위치를 획득한다.


Based on Spibak’s discussion of Subalternity, this study found out that Kim Eon-hee poetry is the utterance of Subaltern who resists the symbolic order. Korean women who suffer double alienation due to colonial capitalism and phallocentrism are representative examples of Subaltern. The combination of sexiness and grotesque, which are characteristics of Kim Eon-hee's poetry works as a new way of utterance and a basis for resistance. Kim Eon-hee accuses the reality that close collusion of carnivorous culture, patriarchy and colonial capitalism alienates women through damaged female bodies, and criticizes Christian discourse that serves as the basis for imperialism that produces dichotomous structures. The combination of damaged female body image, grotesque, and sexuality is a form of ‘talking-death’ and works as a representation of Subaltern. ‘Talking-death’ presents Subaltern's ‘being’ to confront otherness, and presents the agency as part of the representation that evokes the reader's affects. On the other hand, the poetic subject's death drive enables concentration on new life by releasing the focus on present life, and by resisting the symbolic system of “God the Father” through gender difference twisting, it constitutes a re-presentation that deviates from the coding of the various systems surrounding Subaltern. For the 'inexpressive' Subaltern, writing is a major ability to restructure thinking and fix self-reappearance. The poetic subject of Kim Eon-hee's poetry is frightened by "mother," a 'monstrous-feminene' that threatens the symbolic system, but gradually becomes aware of her identity as a monstrous-feminene and performs 'becoming-the monstrous-feminine' having divinity and acquires a new subject-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