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중국 조선족 문학은 중국-한반도-일본을 관통하는 지리/역사적 시공간을 배경으로 다양한 중층적 이미지를 담아낸다. 조선인들의 해외로의 이주/이동, 일제강점기 항일민족운동, 해방 이후의 중국 공산사회주의와 연동된 정치이념, 사회문화 지점을 다면적으로 얽어낸다. 특히 해방 이전의 중국 조선인 문학은 민족계열/공산계열/일제계열의 신문매체를 포함해 다양한 문학작품을 통해 유역화/유민화된 간도/만주지역의 조선인들의 삶을 서사화한다. 대표적인 작가로는 김택영과 신채호를 비롯해 강경애, 신정, 신서야, 박계주, 현경준, 박영준, 안수길, 윤동주 등이 있다. 이들의 문학세계는 조선인들의 디아스포라 의식으로 수렴되는 이주/이동, 정착/개간, 항일운동, 민족의식/민족교육, 자기(민족) 정체성이 주제화 된다. 이러한 해방 이전 간도/만주지역 조선인 문학은 한국의 근대역사의 관점에서 구한말/일제강점기 간고했던 조국바깥에서 진행되었던 우리 근대사의 소중한 기록물이라는 점, 한국 근현대문학사에서 공백으로 남아있는 문학적 지점을 채워준다는 점, 해외 한인문학지형(구소련권/미국/일본/브라질 등)의 관점에서 차지하는 역사적, 문학사적 의미가 적지 않다. 특히 일제강점기 중국의 간도/만주지역 조선인 문학은 한국문학을 비롯해 중국의 근현대문학, 북한문학과 연계시켜 조명하는 과정에서 단순한 과거형의 한글 기록텍스트가 아닌 미래의 통일시대를 준비하는 과정에서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하겠다.


Chinese-Korean literature contains various layers of images based on the geographical and historical time and space that run through China, the Korean Peninsula, and Japan. It is a multi-faceted entanglement of political ideology and social cultural points linked with the migration and movement of Koreans abroad, the anti-Japanese movemen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Chinese communist socialism after liberation. Pre-liberation Chinese-Korean literature, in particular, narrates through various works, including newspapers affiliated with ethnic groups, communists, and Japan, the life of Koreans that changed as they drifted in Jiandao and Manchuria. Major writers include Kim Taek-young and Shin Chae-ho, as well as Kang Kyeong-ae, Shin Jeong, Shin Seo-ya, Park Gye-ju, Hyun Kyung-jun, and Park Young-jun, Ahn Soo-gil, and Yoon Dong-ju. Their literary world is themed around migration/movement, settlement/reclamation, the anti-Japanese movement, national consciousness/national education, and their own (national) identity, which converge in the Diaspora consciousness of Koreans. The Korean literature of Jiandao/Manchuria before the liberation of Korea has historical and literary significance from the perspective of foreign Korean literary topography (former Soviet Union/American/Japanese literature, etc.), and also, from the prospective of modern Korean history: a valuable document of our modern history that took place outside the country during the late Joeson/Japanese colonial period, completing the history of Korea’s modern and contemporary literature that were left blank in terms of literary works. In particular, the literature of Koreans in Jiandao/Manchuria, China has great implications not only for examining the literatur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connection with the modern and contemporary literature of China and North Korea, but also in the process of preparing for the future unification era as these are not mere recorded texts using past tense in Hange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