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근간된 『정본 한국 야담전집』은 조선후기 주요 야담집 20종을 대상으로 정본화 사업을 수행한 결과물이다. 본 연구는 이 성과를 잇는 후속 작업 중 하나로 ‘한국 야담 데이터 아카이브’ 구축을 목표로 하고 이를 수행하기 위한 구체적 방법을 모색해본 것이다. 조선후기 야담을 대상으로 한 데이터베이스 구현 사례는 아쉽게도 현재까지 없는 상황이다. 이를 고려할 때 『정본 한국 야담전집』의 원문을 플레인 텍스트(plain text) 데이터로 가공해 웹에 공개하는 것만으로도 그 효용이 적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문자열(string) 기반의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식은 야담에 담긴 당대의 다채로운 정보와 그 활물적 성격을 온전히 드러내는 방안이라 하기 어렵다. 야담의 내용과 형식 그리고 야담을 매개로 수집 가능한 다양한 정보와 지식 및 그 문화적 의미를 체계적으로 정리․표현․공유하기 위해서는, 원문․번역문과 같은 단순 텍스트 정보만을 처리하는 문자열 기반의 데이터베이스가 아니라 복잡한 데이터의 군집 기록으로서 야담을 바라보고 유관 정보를 디지털 환경에서 고해상도로 펼쳐내 보일 수 있는 시맨틱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이 글은 시맨틱 기반 야담 데이터 아카이브를 구축하기 위한 기초 단계의 모색으로서 조선후기 야담 자료의 형식과 내용을 치밀하게 검토․분석하는 과정에서 진행한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그 연장선상에서 ‘조선후기 야담 온톨로지’ 디자인의 기초 단계에 적용할만한 시맨틱 테크놀로지에 관해 자세히 언급하기보다 이 과정에서 이루어진 야담에 관한 고찰과 고민, 즉 인문학적 사유를 최대한 세밀하게 정리․공유하는 데 집중하였다. 이와 같은 접근은 디지털 환경에서 야담을 본격적으로 다루기 위한 기초 지식과 야담 데이터를 정교하게 처리하기 위한 논의를 점화함으로써 이 논제에 대한 여러 야담 연구자의 안목을 확대하고 유관 문제의식을 활성화하기 위함이다. 이번 논의에서 인문학 자원을 대상으로 한 데이터 모델링 과정에서 보편적으로 활용되는 컴퓨터와 웹 기술에 관한 논급을 최소화하고, 가급적 야담을 다루는 연구자의 언어로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의 과정을 설명하고자 한 이유이다.


Korea Yadam Collection (officially certified version), which was just published, is the outcome of Research for an authentic version of 20 famous tales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As one of the follow-up tasks to this achievement, this research attempts to create a “Korea Yadam (野談) Data Archive” and investigates specific techniques for doing so. Unfortunately, no database implementation case for Yadam of the late Joseon dynasty has been found. In light of this, just converting the original text of the Korea Yadam Collection (officially certified version) to plain text data and distributing it on the web would be of considerable use. However, it is impossible to conclude that presenting string-based data is a sufficient means for properly revealing the colorful and vivid information included in Yadam at the time. It is vital to look at yadams as a record of clusters of complex facts in order to systematically organize, communicate, and share the content and form of sagas, varied information and knowledge that may be obtained through sagas, and their cultural connotations. It is required to develop a semantic database that can display relevant information in high resolution in a digital environment, rather to a string-based database that processes just simple text information such as original texts and translated texts. This article provides the conceptual data modeling carried out in the process of thoroughly reviewing and analyzing the format and content of the late Joseon Dynasty Yadam data archive as a search for the basic steps to establish such a semantic-based Yadam data archive. Rather than concentrating on the semantic technology that can be used to the fundamental stage of the creation of ‘Yadam in the Late Joseon Dynasty Ontology’ as an extension, we focused on organizing and sharing as much material as possible about the yadam considerations made during this process. Such an approach aims to start a serious discussion about sophisticated processing of Yadam data in a digital context. It also aims to widen the perspectives of diverse academics on the subject and raise awareness of connected issues.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focus on the humanities discussion of Yadam rather than the description of computer and online technologies often utilized in the data modeling process for humanities resour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