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出土于河北、京津地区、内蒙古、辽宁、韩半岛北部地区的战国时期青铜货币当中,有一种钱文左为 “阳”,右为 “安” 的双字布币。此类布币的国别有 “三晋” 布币与燕布之分。“三晋” 布币多为三孔方足布, 从器形和钱文书法来看, 燕国布币均有别于 “三晋” 布币, 本稿仅针对该类燕国布币作一探讨。目前对于 该类布币存在着到底为 “安阳” 布, 还是 “阳安” 布的争议。 本稿通过对地望问题的比较、钱文读序问题的考论、国别定性问题的探讨等, 指出以往将该类布币称为 “安阳” 布的依据并不充分, 较为牵强。并以考古发掘出土的客观实物资料为基础, 结合具体的分析与考 辩, 认为将之称为 “阳安” 布是较为妥当的。这对于研究战国时期燕国的经济发展, 以及对于这一地区的 行政建置等问题, 是非常重要的线索, 对于燕国向东北地区的扩展及统治研究也具有极为重要的意义。


Among the bronze coins of the Warring States Period unearthed in Hebei, Beijing-Tianjin area, Inner Mongolia, Liaoning, and the nor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there is a two-character spade-shaped coin with the money text “Yang” on the left and “An” on the right. Whether from the shape of the coin or the calligraphy of the text, there are some differences on the spade-shaped coin between the states of Han, Wei, Zhao and Yan state. This discussion is focus on the spade-shaped coins of Yan state. The controversy is the texts on the coin should be called Yangan or Anyang. This paper points out that the proof for calling this type of spade-shaped currency “Anyang” is not sufficient,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geographical position, the research on the reading order of the texts, and the discussion on which the coin belongs to. Based on the archaeological excavated data, combined with the analysis and research, it is considered that the coin should be called “Yangan Bi”. This conclusion provided a very important clue for the study of the economic development of the State of Yan during the Warring States Period, as well as the administrative establishment of this area, and it is also of great significance for the study on the expansion and reign of the State of Yan to the Northeast of China.


하북성, 북경과 천진지역, 내몽고, 요녕성, 한반도 북부 등 지역에서 발견된 많은 청동화폐중에 좌측은 양(阳)자 우측은 안(安)자로 된 쌍자포폐(双字布币)가 있는데 “삼진(三晋)” 포폐와 연국포폐로 나눌수 있다. “삼진” 포폐는 대다수 삼공방족포(三孔方足布)로 되어 있어 기형과 전문(钱文) 서법으로 보면 모두 연국포폐와 많이 다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런 연국포폐에만 대해 검토하고자 한다. 지금까지 이런 포폐에 대하여 도대체 “안양(安阳)”포인가 아니면 “양안(阳安)”포인가 라는 논쟁이 존재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지망(地望) 문제에 대한 비교, 전문석독순서에 대한 고증, 국별(国别) 성격문제에 대한 검토등을 통해 “안양”포 라고 석독한 이왕의 관점에 논거면에서 충분하지 못 하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고고발굴을 통해 얻은 객관적인 실물자료을 기반으로 구체적인 분석과 고증을 거쳐 이런 포폐를 “양안”포 라고 석독하는 것이 비교적 타당하다고 생각된다. 이에 대한 검토는 전국시기 연국의 경제발전 및 이 지역에 대한 연국의 행정구역 설치등 여러 문제를 연구하는데 매우 중요한 단서로 될수 있을 뿐만아니라 나아가 연국이 동북지역으로 확장하고 통치하는 문제를 연구하는데에도 매우 중대한 의미가 있다.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Warring States Period, Yan State, spade-shaped coins, Yang’an, Anyang

전국시기, 연국, 방족포폐, 양안, 안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