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관불삼매해경 Budda-dhyaha-samadhisagara-sutra≫은 전체 내용이 불상(佛像) 즉, 부처를 형상화한 조각이나 그림에 관한 것으로 구성된 유일한 경전이다. 본고에서는 도상학의 기본 관점인 ‘도상의 특성과 그 본질적 의미파악’을 연구 방법으로 사용하여 ≪觀佛三昧海經≫의 전체 내용을 재구성하고 분석함으로서 이 경전이 불교미술의 도상학적 원전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관불삼매해경≫에서는 첫째, 부처를 바라보는 방법으로 32상의형상적 특징을 설명하면서 순관, 역관, 분별관, 전관을 제시하고 있다. 둘째, 불상을 보는 목적과 효용으로 죄업소멸을 제시하고 있으며, 다양한 불상과 불화의 주제, 석굴 사원조성의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셋째, 불상의 본질적 의미로서 보편불사상과, 공사상을 제시하고 있다. 불상의 탄생은 불교 미술 뿐 만 아니라 불교 사상에도 발전적 변화를 가져왔다. 불교 미술과 사상을 연결 지어 정리한 것이 ≪관불삼매해경≫이다. 이 경의 도상적 해석은 이 후 많은 불교 미술의 주제로표현되었으며 밀교의 불교미술 제작과 사상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Budda-Dhyaha-Samadhisagara-Sutra is the sole Buddhist scripture which delineates the sculptures and paintings of Buddha image. This paper reconstructs the whole contents of Budda-Dhyaha-Samadhisagara-Sutra with the research method of examining spacial features of iconography and its essential meaning. And it presents that this Buddhist sculptures is the original text of Buddhist art iconography. First of all, Budda-Dhyaha-Samadhisagara-Sutra gives an explanation of figurational features of the 32 Buddha sculptures. Second, Budda-DhyahaSamadhisagara-Sutra accounts for ‘Sin Effacement’ as the purpose of effectiveness of Buddhist sculptures, which is rooted in various themes of Buddhist sculptures and paintings. Third, Budda-Dhyaha-SamadhisagaraSutra suggests the idea of Gong(Non-Substantiality) as the essential meaning of Buddhist sculptures. The birth of Buddhist sculptures advanced the change of Buddhist art as well as Buddhist philosophy. The Iconography of Budda-DhyahaSamadhisagara-Sutra has been represented in Buddhist arts over times and had an effect on the paintings and the ideas of Eesoteric Buddh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