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습관행동 변화과정 모형(탁진국, 권혜란, 김혜영 등, 2019)을 기반으로 하여, 식습관 개선 성공 요인(최경화, 김혜영, 한석빈, 탁진국, 2020)과 선행 연구에서 습관 개선에 효과를 나타낸 방법들을 토대로 식습관 개선을 위한 온라인 코칭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실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식습관 개선을 희망하며 수도권에 거주 중인 19세이상 성인 중 전화인터뷰를 통해 선정된 20명을 실험 및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일대일 코칭을 진행하였다. 최종분석에는 17명의 자료가 사용되었으며, 프로그램 사전과 사후에 체중, 식습관, 식이행동, 식이효능감, 자기조절, 삶의 만족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온라인 코칭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프로그램 실시 사전, 사후의 시점과 집단 간의 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한 결과, 자기조절과 삶의 만족을 제외한 체중, 식습관, 식이행동, 식이효능감에서 시점과 집단 간에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 프로그램 효과가 검증되었다. 즉, 통제집단에 비하여 실험집단에서 체중, 식습관, 식이행동, 식이효능감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실무적 시사점, 제한점, 그리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등에 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online coaching program on improving eating habit behaviors. The online coaching program was based on the model of habit behaviors change process(Tak et al., 2019) and the success factors on improving eating habit behaviors(Choi et al., 2020), and previous research showing the effects of habit change. Participants were 20 adults, selected through telephone interviews over the age of 19 in the metropolitan area. They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 and control groups, and participated one-on-one coaching program. Data of 17 people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nd weight, dietary habits, eating behaviors, dietary self-efficacy, self-regulation, and life satisfaction were measured at two times(pre and post).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ime interval and groups for all the dependent variables except self-regulation and life satisfaction. In other words,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weight, dietary habits, eating behaviors, dietary self-efficacy in the experimental group between time interval, whereas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for the control group. Based on these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practical implications,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