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Civic engagement is an umbrella term that includes various components and is rarely defined for low-income individuals in the context of developing countries. This paper investigates and establishes the construct validity of an instrument to measure civic engagement among this study population. The sample consists of 9,013 low-income individuals within 37 low-, lower-middle, and upper-middle income countries. The data is drawn from the World Values Survey Wave 6 (2010-2014). Several factor analysis models were estimated, including an individual-level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an individual-level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and a multi-level (individual- and country-level)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CFA). Results supported a three-factor structure at both individual and country levels: 1) electoral behavior, 2) membership in civic organizations, and 3) cognitive engagement. Results indicated that the proposed factor structure fits the data well, at both the individual and country levels.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both practical and conceptual implications. For researchers, this study provides initial evidence for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civic engagement for use with low-income individuals in developing countries. Practitioners also may use the findings to develop interventions and policies that would improve civic engagement among the study population.


본 연구는 개발도상국 저소득층의 시민사회참여(civic engagement) 측정척도를 개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세계가치관조사(Wave 6)의 저소득국·중소득국 37개국 9,013명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세계가치관조사에서 흔히 사용되는 시민사회참여 관련 전체문항 20개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자료는 37개국을 아우르는 위계적 자료로서, 국가별 차이가 개인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다층모형(multilevel) 검증을 시행하였다. 다층 탐색적 요인분석(multilevel exploratory factor analysis)을 통해 기득권에 저항하는 보다 공식적인 의미의 시민사회참여(탄원서 작성, 시위 참여 등)은 개발도상국 저소득층에게는 큰 의미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신 선거 참여, 다양한 종류의 단체 활동, 인지적 참여는 본 연구집단에 의미 있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론 연구, 문헌 연구 또한 이러한 결과를 뒷받침하였다. 이러한 요인구조가 적합한지를 검증하고자 다층 확인적 요인분석(multilevel 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개인 차원, 국가 차원에서 다음의 세 요인이 본 연구집단의 시민사회참여에 의미 있는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1) 선거 참여, 2) 시민사회단체 활동, 3) 인지적 참여. 분석 결과 척도의 타당성과 안정성이 확인되었으며, 만족할 만한 신뢰도를 보이고 있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해 기존 서구 선진국 중심의 척도가 아닌 개발도상국 저소득층에게 의미 있는 척도를 도출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