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우리나라 시 ․ 군구를 대상으로 수요측면의 인구소멸위험과 공급측면의 주택미분양, 그리고 도시공간 특성을 중심으로 이러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지역 주택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공간헤도닉모형을 이용해 실증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분양 자체는 지역 주택가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아닌 것으로 파악되었으나, 수도권에서 발생하는 미분양은 비수도권에 비해 해당 주택시장에 유의한 음(‒)의 효과를 주고 있었다. 둘째, 인구소멸 위험성이 높아질수록 비수도권 도시의 주택가격에 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를 통해 비수도권 도시를 중심으로 생산가능인구 증가를 위한 다각도의 정책은 비수도권 주택시장 안정에 더 큰 기여를 할 수 있음을 밝혔다. 셋째, 특히 인구소멸 위험성은 수도권에 비해 비수도권의 주택시장 침체를 가속화시킬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미분양으로 인한 주택시장 불안심리가 가중되지 않도록, 수도권 미분양에 대한 관리와 함께 비수도권 중심의 인구정책과 주택정책의 통합추진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complex impacts of population extinction (in terms of demand), unsold housings (in terms of supply), and characteristics of urban space on regional housing markets based on the spatial hedonic price model.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unsoldhousings occurring in the metropolitan area turned out to have a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regional housing markets compared with the non-metropolitan area.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population extinction is, the more the negative impact has on housing markets of thenon-metropolitan area. Measures from different perspectives for raising the working-age population on the non-metropolitan area could help housing markets on the non-metropolitan area stable. Third, in particular, the extinction risk turned out to be likely to accelerate the downturn inhousing markets in the non-metropolitan area compared with the metropolitan area. As a result,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unsold housings in the metropolitan area in order not to increase anxiety over housing markets should be managed and integrated policies for population and housing on the non-metropolitan area should also be strengthen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