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도시, 생태, 미술이라는 서로 다른 개념과 영역이 만나 가장 효율성을 이루는‘ 공동체 기반의 도시 생태 미술’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에 생태도시의 개념과 의미, 그리고 도시 생태를 다룬 선구적인 미술 작업의 예를 고찰한 후, 생태미술의 공공성과 관련된‘ 장소 특정성으로서의 공공성’으로부터‘ 공동체 특정성으로서의 공공성’으로의 변화과정 및 그러한 변화와 함께 논의되어 온‘ 공동체’의 개념을 살펴본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대만의 뉴 타이페이 지역에서 실행된 <환경으로서의 미술 - 매화나무개울의 문화 활동>과 브라질 리오 데 자네이로의 빈민 지역에서 실행된 <그린 마이 파벨라(GMF)> 등 도시 공동체를 기반으로 전개된 두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도시 생태 미술의 특징과 의의를 찾아본다.


This study focuses on ‘community-based urban ecological art’, where different concepts or areas such as city, ecology, and art meet and achieve the most efficient result. To this end, I examine the concept and meaning of an eco-city, and examples of pioneering art work dealing with urban ecology. After explaining the process of shift from ‘publicity as site-specificity’ to ‘publicity as community-specificity’ related to the publicity issue of ecological art, I will discuss the concept of ‘community’ that has been the subject of debate along with the transition. Also I will introduce two projects: Art as Environment - Cultural Activity of Plum Creek implemented in New Taipei Region of Taiwan, and Green My Favela (GMF) carried out in the slum area of Rio de Janeiro, Brazil. Focusing on two projects developed around urban communities, I will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urban ecological a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