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1959년 초 재일조선인 북송사례에서 미국은 어떠한 방침을 취했는지 살펴보기 위해 1959년 1-3월까지의 미국국무부 문서 등 1차 문헌 자료를 활용하여 역사적 분석방법으로 고찰했다. 그 결과 미국은 1959년 1월 일본이 발표한 재일조선인 북송계획에 무간섭(hands off)의 태도를 보였지만, 이러한 미국의 중립적인 입장은 1959년 3월부터 점점 관여로변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대외적으로 미국은 중립적 입장을 표명했지만, 미국은 북송문제와 같이 진행되었던 베트남과 태국의 송환문제가 재일조선인 북송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게 될 것을 우려했고, 1959년 4월 북한적십자사와 일본적십자사의 제네바 협상을 염려하였다. 그러므로 1959년 초기 재일조선인 북송사례에서 미국은 단지 방관자가 아니었으며, 북송문제에 관여를 조금씩 시도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동북아에서 북송 재일교포 2세 등으로 이어지는 현재의 재일교포 문제에서 한일관계뿐만 아니라 미국의 입장도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This paper aims to complement existing studies on the U.S.’s changing stance on the repatriation of Koreans in Japan to North Korea in early 1959, thereby attempting further detailed analysis. As a main actor in Northeast Asia during the Cold War, the U.S. wielded influences over the repatriation of Koreans in Japan to North Korea. Therefore, this study gives a detailed analysis of the U.S. stance on the repatriation of Koreans in Japan to North Korea in terms of ‘neutrality’ and ‘engagement.’ Against such a backdrop, the paper conducts a historical analysis using primary source documents from January to March 1959, thereby placing the findings in chronological order. This research contends that the U.S. gradually changed engagement from January to March 1959. On January 30, Japan announced the principle of repatriation of Koreans in Japan to North Korea. The U.S. officially expressed that it remained a staunch advocate for neutrality. However, in March 1959, the U.S. shifted its position from neutrality to engagement concerning the repatriation of Koreans in Japan to North Korea. The U.S. thought the repatriation of Koreans in Japan to North Korea would have a direct impact on the repatriation of the Vietnamese and Thai. In particular, the U.S. worried about the Geneva negotiations in April between the North Korean Red Cross and the Japan Red Cross. The above findings confirm that the U.S. was not a bystander of the repatriation of Koreans in Japan to North Korea in early 1959 and that the U.S. carried out engagement in the repatriation of Koreans in Japan to North Korea gradual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