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Semiconductors, which are essential for high-tech products, are China’s largest import and Korea’s largest export. Since the U.S.-China trade war, the U.S. has aggressively controlled exports of semiconductors to China to hinder China’s development of high-tech industries. These U.S. export sanctions were expected to negatively affect Korea’s semiconductor exports to China. However, Korea’s semiconductor exports to China have continued to increase even after the sanctions. To explain this fact, this study empirically verified the effects of the Korea-China FTA on semiconductor trade between the two countries. Since the 2010s, the complementarity of semiconductor trade has been maintained in the aftermath of the trade war. Korea’s competitive advantage over China in the memory chips strengthened this trend. The gravity model, including variables such as distance, population, and gross domestic product (GDP) and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e correlation between FTA and semiconductor trade. In other words, the FTA contributed to converting semiconductor trade, which decreased in 2019 when U.S. export control was strengthened, back to an increase in 2020.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that it has only a six-year analysis period and did not consider geopolitical and technical variables that could have affected semiconductor trade.


첨단 상품에 필수적인 부품인 반도체는 중국의 최대 수입품이자 한국의 최대 수출품이다. 미중 무역전쟁 이후 미국은 중국의 첨단 산업 발전을 방해하기 위해 대중 반도체 수출을 강력하게 통제하고 있다. 이러한 미국의 수출 제재는 한국의 대중 반도체 수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었다. 그러나 한국의 대중 반도체 수출은 제재 이후에도 계속 증가해왔다. 이 사실을 설명하기 위해 이 연구는 한중 FTA가 양국의 반도체 무역에 미친 효과를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2010년대 이후 반도체 교역의 상호보완성은 무역전쟁의 여파에도불구하고 유지되었다. 메모리 분야에서 중국에 대한 한국의 경쟁우위는 이러한 추세를 강화하였다. 거리, 인구, 국내총생산 (GDP) 등의 변수를 포함한 중력모형에 따른 회귀분석은FTA와 반도체 무역의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즉 FTA는 미국의 수출 통제가 강화된 2019년감소했던 반도체 교역을 2020년부터 다시 증가세로 전환시키는데 기여하였다. 이 연구는 분석 기간 6년밖에 되지 않으며 반도체 교역에 영향을 주는 지정학적 및 기술적 변수에 대한고려를 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