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에서는 생애사적 접근(life history approach)을 통해서 1960-1970년대 독일로 노동이주 했던 파독광산근로자 출신 재독한인을 대상으로 이주동기, 독일에서의 사회경제적 정착과정과 현재 노후생활에 관해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방법으로는 2020년 1월부터 2월 사이에 독일 현지조사를 통해서 35명의 전직 파독광산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독일에 잔류한 파독광산근로자들은 한인간호사와의 결혼, 혹은 직장 등의 이유로 근무하던 광산이 있던 지역을 떠나서 독일 내에서 재이주를 하기도 하였다. 소수는 계속적으로 광산에서 일하였지만 대부분은 광산을 나와서 타직종으로 전환하였고 자영업을 경영하기도 하였다. 파독인력은 독일 현지에서 민간차원에서 한독 교류에 기여하였고 그 자녀들의 교육에 힘써서 재독한인 2세들의 교육적, 직업적 성취도가 상당히 높은 편이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고령화한 재독한인 1세의 노후실태에 관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지원에 관한 제언을 하였다. 본 연구는 파독광산근로자, 독일 한인이주사, 재외한인 1세대의 고령화에 대한 이해 증진에 기여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른 지역의 한인 노인이민자들에 관한 후속 연구로 파생될 수 있을 것이다.


Through a life-history approach, this article examines the motives for migration, the socioeconomic settlement process, and the post-retirement life of Korean immigrants to Germany who were initially dispatched as miners in the 1960s and 1970s. Methodologicall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between January and February 2020 with 35 Korean ex-miners residing in German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a majority of Korean miners who chose to remain in Germany left mining areas to relocate due to marriage with Korean nurses, or to pursue other job opportunities A small number of them continued to work in the mines, but most switched to other jobs, and some became self-employed. In Germany, Korean ex-miners have contributed to Korean-German cultural exchange at the private level. They have also endeavored to obtain a good education for their children. As a result, the level of educational and professional achievement of second-generation Korean-Germans is quite high. Finally, this article makes policy suggestions concerning the Korean diaspora, based on the survey results related to the situation of the aging first-generation Korean-Germans.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an improved understanding of the migration experience and the situation of aging Korean ex-miners, and it can be used as the basis for follow-up studies on elderly Korean immigrants in other reg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