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인지언어학의 주요 방법론인 개념적 은유와 개념적 환유의 관점으로 2010~2020년에 생성된 한국과 중국의 [+사람] 신어의 의미 구성 양상을 살펴보고 이들에 나타나는 양국 언중의 인지적 보편성과 특이성을 대조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중 양국의 신어자료집에서 [+사람] 신어를 추출하여 다섯 가지 개념적 은유 유형과 두 가지 개념적 환유 유형으로 분류하여 각각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첫째, 개념적 은유의 경우 중국어는 [사람은 동물], [사람은 음식물], [사람은 초자연적 존재], [사람은 물체] 네 가지가 발달한 반면, 한국어는 [사람은 동물], [사람은 물체]가 가장 발달한 양상을 보였다. 둘째, 개념적 환유의 경우 특히 한국어 [+사람] 신어에서는 신체의 일부가 그것과 관련된 전체를 대표하는 환유가 다양하게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한중 [+사람] 신어의 개념적 은유에서는 ‘호랑이, 신, 요정, 개미, 벌레, 꽃, 금’과 같은 공통된 근원영역, 개념적 환유에서는 ‘뇌, 손, 손가락, 피부’ 등 신체 부위가 활성화되었다. 넷째, 동일한 근원영역이 활성화되더라도 문화권, 신체적 경험에 따른 특이성도 발견되었다.


Based on conceptual metaphor and conceptual metonymy, the main methodological approaches of cognitive linguistics, this paper explores the semantic composition of [+Person] Neologisms coined between 2010 and 2020 in Korea and China, to compare and analyze the cognitive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of the cognitive mechanisms of Koreans and Chinese people embodied in the [+Person] Neologisms. The [+Person] Neologisms were collected from lists of Korean and Chinese neologisms and classified into five types of conceptual metaphors and two types of conceptual metonymy. Their characteristics were then examined separately. As a result, it appears that Chinese conceptual metaphors are the most abundant in four categories, namely [PEOPLE ARE ANIMALS], [PEOPLE ARE FOODS], [PEOPLE ARE SUPERNATURAL BEINGS], [PEOPLE ARE OBJECTS], while Korean conceptual metaphors are the most developed in the two categories of [PEOPLE ARE ANIMALS] and [PEOPLE ARE OBJECTS]. Secondly, conceptual metonymy [BODY PART REPRESENTS THE WHOLE] is particularly frequent in Korean [+Person] Neologisms. Thirdly, in the conceptual metaphors of Korean-Chinese [+Person] Neologisms, the common source domains of ‘tiger, god, fairy, ant, insect, flower, and gold’ are activated, and in conceptual metonymy, the source domain of body parts such as ‘brain, hand, finger, skin’ are activated. Finally, although the same source domains are activated, the meanings expressed demonstrate specificity due to the different physical experiences of each cultural and linguistic community.